Navigation Learning Ability and Visuospatial Functioning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in Virtual Environments

경도인지장애환자의 가상환경 내 길찾기 학습능력과 시공간 기능에 관한 연구

  • 박수미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임상심리학) ;
  • 이장한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Published : 2008.02.13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avigation ability of patients with MCI in Virtual Environments(VE) and on the visual functioning.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elderly adults with/without MCI. Neuropsychological tests(RCFT, BVRT, TMT, and Digit Span), the Groton Maze Learning Test(12trials), and the VE navigation learning task(6 trial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for the RCFT and BVRT, but not for the GMLT. For the VE task,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CI and normal group and no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s and trials were found. The VE task was correlated with The RCFT, the BVRT, and the GMLT and omnibus the RCFT and the BVRT accounted for 45% of VE performances. Thus, we concluded that patients with MCI are inferior to VE navigation and visual retention/memory play a role in navigation abilities.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MCI)환자의 가상환경(VE)내 길찾기 학습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전통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하여 길찾기 능력을 구성하는 인지기능에 대해 조사하였다. 피험자는 정상노인집단(N=27)과 MCI 환자집단(N=22)으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는 간이정신집단검사, 시각 기억력을 측정하는 Rey Complex Figure Test(RCFT), 시각적 보존력을 측정하는 Benton Visual Retention(BVRT), 주의력을 측정하는 Trail-Making Test(TMT; A형과 B형), 성인용 웩슬러 지능검사의 하위검사인 숫자외우기(바로/거꾸로), 및 집행기능 및 기억력을 측정하는 2차원공간에서의 미로학습검사 Groton Maze Learning Test(GMLT)(12회기)를 마친 후, 가상현실(VE) 내 길찾기과제(6회기)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VE 길찾기 과제에 대하여 유의미한 집단효과가 나타났다. 즉, MCI집단의 길찾기 수행이 정상노인집단의 길찾기 수행보다 떨어지는 결과가 발견되었다. 집단과 회기간 상호작용 및 유의미한 회기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GMLT에서는 유의미한 상호작용, 집단효과, 및 회기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경심리검사에서는 RCFT와 BVRT에서 유의미한 집단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VE과제는 RCFT, BVRT, 그리고 GMLT와 상관이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한 회기분석 실시 결과 RCFT와 BVRT는 가상환경 내 길찾기 행동에 대한 45%의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MCI환자의 길찾기 능력이 정상인에 비하여 떨어지며, MCI환자의 시공간기억기능 결함으로 이와 같은 길찾기 능력저하를 설명할 수 있음을 함의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