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Components of Edible Marine Algae in Korea -I. The Components of Several Edible Brown Algae-

한국산(韓國産) 식용(食用) 해조류(海藻類)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수종(數種) 식용(食用) 갈조류(褐藻類)의 구성(構成) 성분(成分)에 대(對)하여-

  • Lee, In-Kyu (Dept. of Botany, Seoul National Univ.) ;
  • Shim, Sang-Chil (Radiation Research Institute in Agriculture, Office of Atomic Energy) ;
  • Cho, Han-Ok (Radiation Research Institute in Agriculture, Office of Atomic Energy) ;
  • Rhee, Chong-Ouk (Radiation Research Institute in Agriculture, Office of Atomic Energy)
  • 이인규 (서울대.문리대.식물학과) ;
  • 심상칠 (원자력청.방사선농학연구소) ;
  • 조한옥 (원자력청.방사선농학연구소) ;
  • 이종욱 (원자력청.방사선농학연구소)
  • Published : 1971.12.30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chemical components of edible marine algae in Korea, the present work is carried out with ten edible and two non-edible species of brown algae, collected from Cheju-island during October, 28-30 in 1970. Among the general components, water content is about 14-16% to dry weight and the crude protein about 16%, which are almost similar in content compared with several non-cultivate edible land plants. The content of crude fat is about 0.7-2.0%, and that of crude fiber about 3-8%, while the content of crude ash is 9.17-16.89%. The last one is more than two times in content compared with the land plants. The reducing sugar is about 0.27-2.49% in general. On the other hand, among the minerals Ca content is the most abundant, 1.73-2.51%, and the next is S, 1.0-1.8%. Mg and I are around 0.1-1%, while K and Na are about 1% in content. Among the micro-elements, Fe and Zn are about 0.01-0.03%, and Cu and Mn 0.001-0.005% in content. There is no special significant difference in chemical components between the edible and non-edible species of brown algae. Moreover, so far as the present investigation is concerned, there can be found no significant inter-species relationship on the taxonomical or phylogenetical points of view, considering their components.

한국산(韓國産) 식용해조류(食用海藻類)의 구성성분(構成成分)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10종(種)의 식용(食用) 갈조류와 2종(種)의 비식용(非食用) 갈조류를 재료로 하여 일반화학성분(一般化學成分)과 각종 무기염류를 분석 검토하였다. 시료(試料)는 1970년(年) 10월(月) $28{\sim}30$일(日) 제주도에서 채집(採集)하였다. 1) 일반성분(一般成分) 중(中) 수분(水分)은 건물량(乾物量)의 $14{\sim}16%$를 함유하고, 조단백질은 대부분(大部分)이 16% 정도여서 육상야생 식용식물의 경우와 비슷하였다. 조지방(粗脂肪)은 $0.7{\sim}2.0%$ 정도이고, 조섬유(粗纖維)는 $3{\sim}8%$였으나 조회분(粗灰分)은 $9.17{\sim}16.89%$로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내고 있다. 환원당으로 정량한 유리 단당류는 $0.27{\sim}2.49%$를 포함하고 있다. 2) 무기염류 중에서는 Ca이 가장 많아서 $1.73{\sim}2.51%$였고, S이 그 다음으로 $1.0{\sim}1.8%$, Na 과 K이 약 1% 정도였다. Mg과 옥소(沃素)는 약 $0.1{\sim}1%$였고 미량원소에 속하는 Fe과 Zn은 약 $0.01{\sim}0.03%$, Cu와 Mn은 $0.001{\sim}0.005%$ 정도였다. 3) 식용성(食用性) 갈조류와 비식용성(非食用性)인 것 사이에 그 구성성분상(構成成分上) 특기할 차이는 없었고 더욱이 본 실험 결과만으로는 이들의 분류(分類) 내지(乃至) 계통학적(系統學的) 유연관계를 설명해 줄 수 있는 성분상의 차이는 찾아 볼 수 없었다. 4) 해조류가 식품(食品)으로서 지니는 가치는 지방 단백질 및 탄수화물의 함량보다 각종(各種) 무기염류가 다량(多量)으로 또한 다양(多樣)하게 들어 있는 점(點)에 있다고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