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Freezing Tolerance of Mulberry, Morus species -Relation between Freezing Tolerance and Some Substances in Mulberry Branches-

뽕나무 내한성에 관한 연구 -특히 지조함유물질과 내한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 김호락 (농촌진흥청 잠업시험장)
  • Published : 1980.08.01

Abstract

Some substances and freezing tolerance in the mulberry (Morus species) branch have been studied on the basis of varietal differences and harvesting times along with harvesting methods in autum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ighest freezing tolerance was shown in the varieties of Yongcheon-chou, Jasan, Kang-weon No. 3 and Ichihei, the medium in Roso. Kairyonezumigaeshi, Yanagida and Kokuso No. 28, and the lowest in Ichinose, Mokuso, Kokuso No. 21 and Suweousang No. 3. 2. There was a signifiant negative correlation (r= -0.59*) between death atop percentage in the field and the temperature required to kill 50% of the mulberry buds (T$_{50}$) with the harvesting times and methods in autumn. Cold hardening occurred in the early through the end of September with the peak at the mid-september. During this period, leaf harvest decreased freezing tolerance with remarkable decrease due to picking all the leaves and leaving several leaves at the base of branch. Greater cold hardening was induced by leaving several leaves after topping. 3.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freezing tolerance and the contents of soluble (r =-0.70*) and crude (r= -0.70*) protein. However,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freezing tolerance and total carbohydrate contents per crude (r=0.31*) and per soluble (r=0.71*) protein . There were also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freezing tolerance and total sugar (r=0.67*) and RNA content (r=0.99**). No relationships of dry matter. fat. total carbohydrate and DNA contents were observed to the freezing tolerance. 4. Such sugars as raffinose. lactose, sucrose, glucose, fructose. arabinose. xylose. ribose (assumed) and rhamnose were detected in winter mulberry branch. Major sugars such as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were supposed to have higher relationship to the freezing tolerance than the other sugars. 5. Late harvesting increased RNA content except in the case of total leaf picking at mid-September. Leaf picking decreased RNA content. Some amount of RNA was, however, maintained by leaving several leaves after topping Leaving upper-middle leaves of a branch showed high RNA content. Leaving young leaves at the top and the overmatured leaves at the base showed low content. A positive correlation (r=0.51*) was noted between RNA content and freezing tolerance in the different harvesting methods.s.

본 연구는 뽕나무 품종별 그리고 추기수확시기 및 방법에 따르는 내한성의 정도와 내한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조의 함유성분량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뽕나무 품종별 내한성은 용천추우, 자천 강원 3호 및 시평이 가장 강하였고, 노상, 개양서반, 유전 및 구상28호가 중간정도이었으며, 일지뢰, 모상, 구상21호 및 수원상3호가 가장 약한 품종에 속하였다. 2. 추기수확시기 및 방법과 잔엽부위에 따른 동아 50% 치사온도에 의한 내한성 검정결과는 포장에서의 선고장비율과 부의 상관관계(r=-0.5*)를 나타내었다. 뽕나무의 내한성 증대작용은 9월초부터 9월말까지 계속되며, 9월 중순에 그 정도가 가장 커서 이때의 적엽은 내한성을 약화시켰으며, 특히 전적엽 및 수확 후 기부잔엽을 내한성을 크게 약화시키었다. 그러나 적심 처리를 하면 내한성을 약화를 줄일 수 있었다. 3. 품종별 지조의 성분함량과 내한성과의 관계를 보면 조단백질 및 수용성 단백질함량은 부의 상관관계(r=-0.70*)이었으나, 이들에 대한 전탄수화물의 함량비에서는 정의 상관관계(각각 r=0.31 및 r=0.71*)이었으며, 당 및 RNA 함량과도 높은 정의 상관관계(각각 r=0.67* 및 r=0.99**)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건물률, 지방. 전탄수화물함량 및 DNA함량과는 무관하였다. 4. 뽕나무 지조에는 동기에 raffinose, lactose, sucrose, glucose, fructose. arabinose, xylose, ribose (추정) rhamnose등 9종의 당류가 동정되었다. 이들 당류는 내한성과 깊을 관련을 갖는데, 특히 당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sucrose, glucose 및 fructose의 함량차가 크게 영향 하였다. 5. 추기수확시기에 따라서는 9월 12일 전적엽구의 지조내 RNA함량의 심한 감소를 제외하고는 고 시기가 늦어지는데 따라서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수확방법에 따라서는 전반적으로 수확을 하게 되면 RNA함량이 감소되었으나 적심잔엽을 하면 그 감소를 줄일 수 있었다. 수확 후 잔엽부위별로 보면 중상부의 잔엽은 지조내 RNA함량을 증가시켰고, 상부의 말숙엽과 하부의 노령 옆을 잔엽하면 그 함량이 감소되었다. 수확방법에 따른 RNA함량과 내한성과는 꼭 일치하지는 않았으나,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r=0.51*).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