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Manufacture of Underia pinnatifida Laver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I. Histochemical Properties -

미역김의 제조와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제 1 보 : 미역김의 조직화학적 특성 -

  • Kim, Kil-Hwan (Food Technology Laboratory,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Chang-Sik (Department of Food Technology, Dongguk University)
  • 김길환 (한국과학기술원 식품공학연구실) ;
  • 김창식 (동국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82.12.30

Abstract

The histochemical examination of Undaria pinnatifida Laver were conducted with light microscope and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 1. Undaria pinnatifida frond were composed with epidermis, cortex and medulla. But the cutting section of Undaria pinnatifida Laver showed that only the epidermal cell were bound to each other. The cortex and medulla of the frond were destroyed during U.P. Laver process. 2. To identification of bind material of U.P. Laver, which were treated with sodium carbonate solution for extraction of alginic acid and reacted with Periodic Acid Schiff(PAS) reagent. And the PAS reaction result was negative by light microscope observation. On this result, we found out that the alginic acid has the binder role of U.P. Laver. 3. Also, the bind structure of U.P. Laver were observed by electron microscope and could well find out the epidermal cell wall and bind position of alginic acid, which were could not observed by light microscope.

미역김의 제조와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계속 연구로 실시한 미역김의 조직화학적 특성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역잎은 표층, 피층, 속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미역김의 결합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피층과 속층이 완전히 파괴되었고 표층세포끼리 결합되어 있었다. 미역김 절편을 $Na_2CO_3$용액 처리로 알진산을 추출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검경한 결과 알진산이 추출된 결합부위는 periodic acid schiff reagent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한편 미역잎을 $Na_2CO_3$용액으로 미리 처리하여 알진산을 추출한 후에는 정상적인 미역김을 제조할 수 없었고 비정상적인 결합구조이었으므로 알진산이 미역김의 결합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역김의 결합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알진산의 결합위치는 미역김의 표층세포막과 세포막사이임이 밝혀졌다. $Na_2CO_3$용액을 처리한 미역잎으로 제조한 비정상적인 미역김의 결합구조는 표층세포껍질로 인지되는 물질만이 서로 엉켜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