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olvents on the Yield, Brown Color Intensity, UV Absorbance, Reduc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White and Red Ginseng

홍삼(紅蔘) 및 백삼(白蔘)의 용매별(溶媒別) 추출물(抽出物)의 수율(收率), 갈색도(褐色度), 자외선흡수특성(紫外線吸收特性), 환원성(還元性) 및 항산화(抗酸化) 작용(作用)

  • Choi, Kang-Ju (Korea Ginseng and Tobacco Research Institute) ;
  • Kim, Man-Wook (Korea Ginseng and Tobacco Research Institute) ;
  • Hong, Soon-Keun (Korea Ginseng and Tobacco Research Institute) ;
  • Kim, Dong-Hoon (Department of Foo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ature, Korea University)
  • 최강주 (한국인삼연초연구소) ;
  • 김만욱 (한국인삼연초연구소) ;
  • 홍순근 (한국인삼연초연구소) ;
  • 김동훈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83.03.31

Abstract

The effects of fat-solvents was investigated on the yield. brown color intensity, UV absorbance patterns, reduc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d vari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extracts from white and red ginseng. The yield and intensity of brown color of extracts were generally greater as the polarity of the solvent used became stronger. The intensity of the brown color of extract of red ginseng was greater than that of white ginseng. The orders of reduc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of red ginseng was similar that of white ginseng, resulting in decreasing order of: ethanol>methanol>ethyl acetate, acetone>ether>chloroform>benzene, hexane. The ethanol, methanol, and ethyl acetate extracts of red ginseng showed stronger UV absorption than the corresponding extracts of white ginseng. The former also possessed stronger reduc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e latter. The composition of the major unsaturated fatty acids (linoleic, linolenic, and nervonic acid) in the ethanol and ethyl acetate extracts from both white and red ginseng did not change appreciably for 60 days at $45^{\circ}C$. In case of the hexane extracts which had shown the weakest reduc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among the extracts, linolenic acid disappeared almost under the same condition.

홍삼(紅蔘) 및 백삼(白蔘)의 에탄올, 메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클로로포름, 멘젠과 헥산등의 추출물(抽出物)에 대하여 흡율(吸率), 갈색도(褐色度), 자외선(紫外線) 흡수(吸收) 특성(特性), 환원성(還元性) 및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과 추출물(抽出物)중에 함유(含有)된 지질성분(脂質成分)의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에 대한 안정성(安定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추출물(抽出物)의 수율(收率)과 갈색도(褐色度)는 용매(溶媒)의 극성(極性)이 클수록 일반적으로 컸으며, 홍삼(紅蔘) 추출물(抽出物)의 갈색도(褐色度)가 해당하는 백삼(白蔘) 추출물(抽出物)의 경우보다 대체로 컸었다. 홍삼(紅蔘) 및 백삼(白蔘)의 용매별(溶媒別) 추출물(抽出物)의 환원성(還元性)의 크기와 대두유(大豆油) 기질(基質)에 대한 항산화(抗酸化) 작용(作用) 크기의 순서(順序)는 대체로 비슷하였으며 에탄올>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에테르>클로로포름>벤젠, 헥산의 순서(順序)였다. 특히 홍삼(紅蔘)의 에타놀 및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抽出物)은 해당하는 백삼(白蔘) 추출물(抽出物)보다 $250{\sim}300nm$ 파장(波長)의 자외선(紫外線)을 강(强)하게 흡수(吸收)하였으며, 그 환원성(還元性)과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도 더 강(强)하였다. 또한 이들 추출물(抽出物)들은 $45^{\circ}C$에서의 60일간(日間)의 산패(酸敗) 경시변화(經時變化) 조사(調査) 결과(結果)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그리고 nervonic acid등 불포화(不胞和) 지방산(脂肪酸)의 산화(酸化)에 의한 감소(減少)를 현저하게 억제(抑制)하였다. 한편, 환원성(還元性)과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이 가장 약(弱)했던 헥산추출물(抽出物)의 경우 동일(同一) 산패(산패) 실험(實驗)중에 그 주요(主要) 구성(構成) 지방산(脂肪酸)중 불포화도(不胞和度)가 가장 큰 linolenic acid는 거의 건부가 산화(酸化)되어 없어졌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볼때 이들 환원성(還元性) 및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이 있는 추출물(抽出物)들은 지질성분(脂質成分)들의 품질(品質) 안정성(安定性)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