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Oxygen and the Tsushima Current in the Japan Sea in Summer

하계 동해의 용존산소 분포특성과 대마난류

  • HONG Chol Hoon (Tong-Young National Fisheries Junior College) ;
  • CHO Kyu Dae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Published : 1983.07.01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variations of the distribution of dissolved oxygen in the Japan Sea in summer during 1974-1977. In the Tsushima Current region of the Japan Sea the salinity maxima appears frequently in summer and the dissolved oxygen at the salinity maximum is less than that in the Japan Sea Proper Water. The Japan Sea is divided into three part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vertical profiles of dissolved oxygen: The southern region of about $35^{\circ}N$ which has low dissolved oxygen similar to those in the Kuroshio region, the Japan Sea Proper Water region, and the area between about $36^{\circ}N$ and $40^{\circ}N$ which has high dissolved oxygen. The ranges of the dissolved oxygen and thermosteric anomaly(${\delta}_T$) at the salinity maximum are roughly between 4.9 and 6.5 m/l and between 210 and 240 cl/t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 ranges of those values are between 5.5 and 5.7 ml/l and between 230 and 240 cl/t. The northern boundary of the Tsushima Current can be known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ion of dissolved oxygen.

고온${\cdot}$고염수인 대마난류는 동해에서 하계에 염분 최대층을 형성한다. 또 이 염분최대층의 용존산소($4.0{\sim}5.5\;ml/l$)는 고산소인 동해고유수 ($6.0{\sim}8.5\;ml/l$)에 비해 적은 값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계 동해에서 대마난류가 변동함에 따른 용존산소의 분포특성과 그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용존산소의 연직구조에 따라 그 분포역을 구분하고 염분 최대층에서 용존산소를 조사하여 연직단면구조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존산소의 분포역은 해에 따라 다소 변동은 있으나 크게 셋으로 구분되었다. 즉 쿠로시오의 성질을 거의 그대로 보이는 $36^{\circ}N$ 이남해역, 동해 고유수의 성질을 보이는 해역($40^{\circ}N$ 이북해역) 및 그 중간해역인 대마난류역($36^{\circ}N{\sim}40^{\circ}N$)이었다. 염분최대치가 나타나는 층에서의 용존산소 및 ${\delta}_T$(thermosteric anomaly)의 범위는 대체로 $4.9{\sim}6.5\;ml/l,\;210{\sim}240\;cl/t$ 이었으나, 그 최대빈도는 각각 $5.5{\sim}5.7ml/l,\;230{\sim}240\;cl/t$ 이었다. 대마난류가 한국 동해안쪽으로 치우쳐 북상한 해의 경우에는 냉수와의 경계역에서 사행이 심하나 일본 연안쪽으로 주류가 북상한 해의 경우는 냉수와의 경계역이 매우 남하해 있고 비교적 전자에 비해 사행도 적었으며, PM 선상의 단면도로 볼 때 주축이 외해쪽으로 좀 더 이동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용존산소의 분포상태로써 대마난류의 복상한계를 파악할 수가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