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roductive Cycle of Small Filefish, Rudarius ercodes

그물코쥐치, Rudarius ercodes의 생식주기

  • LEE Taek Yuil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HANYU Isao (Laboratory of Fish Physiology, Faculty of Agriculture, University of Tokyo)
  • 이택열 (부산수산대학 자원생물학과) ;
  • Published : 1984.09.01

Abstract

The reproductive cycle of the small filefish, Rudarius ercode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annual variations of gonadosomatic index(GSI) and hepatosomatic index(HSI) by electronic and photic microscophy. The specimens used were collected at the coastal area of Benden island, Sizuokagen, Japan, from September 1982 to August 1983. GSI began to increase from March, starting season of longer daylength and higher water temperature, and reached the maximum value between June and August. It began to decrease from September with the lowest value appearing between November and February without any evident variation. The annual variations of HSI were not distinct in male filefish and were negatively related to GSI in female : HSI decreased in the summer season when the ovary was getting mature and reached the maximum in the winter season when the ovary was getting retrogressive. The ovary consisted of a pair of saccular structure with numerous ovarian sacs branched toward the median cavity. Oogonia divided and proliferated along the germinal epithelium of the ovarian sac. Young oocytes with basophile cytoplasm showed several scattering nucleoli along the nuclear membrane. when the oocytes growing to about 300 ${\mu}m$, nuclear membrane to disappear with nucleus migrating toward the animal pole. The regions of protoplasm were extremely confined within the animal hemisphere in which most of cytoplasms were filled with yolk materials and oil drops. After ovulation, residual follicles and growing oocytes remaining in the ovarian sacs degenerated. But perinucleatic young oocytes without follicles formed were not degenerated, and growing continuously still in the next year. Mitochondria and endoplasmic reticula in the cytoplasm remarkably increased with oocytes maturing and yolk accumulating. Those were considered to be functionally related to the yolk accumulation. Five or six layers of possible vitellogenin, oval-shaped disc structures with high electron density, appeared in the apex of follicular processes stretching to the microvilli pits of mature oocytes. Testis consisting of a pair of lobular structures in the right and left were united in the posterior seminal vesicle, Cortex of testis was composed of several seminiferous tubules, and medulla consisting of many sperm ducts connected with tubules. Steroid hormone-secreting cells with numerous endoplasmic reticula and large mitochondria of well developed cristae were recognized in the interstitial cells of the growing testis. Axial filament of spermatozoon invaginated deeply in the central cavity of the nucleus and the head formed U-shape with acrosome severely lacking, mitochondria formed large globular paranuclei at the posterior head, and microtubular axoneme of the tail represented 9+9+2 type.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s could be divid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 growth(March to July), maturation(May to September), Spawning(mid May to early October) and resting stages(October to February). The spawning peak occurred from June to August.

1982년 9월부터 1983년 8월까지 일본국 정강현 빈명군 빈명호입구 연안에서 채집된 그물코쥐치, Rudarius ercodes를 대상으로 생식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간 생식소숙도지수(GSI)와 간숙도지수(HSI)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이들 생식소발달과정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GSI는 일장이 길어지며 수온이 상승하는 3월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6월에서 8월까지 년중 최대값을 나타내고, 9월부터 하강하여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변화없이 연중 최저값을 나타냈다. GSI의 연간변화는 수컷의 경우 뚜렷하지 못하고 암컷의 경우는 GSI와 역상관 관계를 가지고 변하고 있다. 즉 생식소가 발달하는 하계에는 HSI값이 떨어지고, 생식소가 퇴화되는 동계에는 HSI값이 최대로 높아진다. 난소는 많은 난소소낭으로 구성된 1쌍의 낭상형 구조를 이루고 있고, 이들 난소소낭 상피에서 난원세포가 분열증식되고 있다. 초기 난모세포는 세포질이 호염기성이고 핵막을 따라 여러 개의 분산인을 가진다. 완숙 난모세포는 $300{mu}$ 내외로 핵이 동물극으로 이동되면서 핵막이 소실되고, 원형질구성이 극히 한정되며, 대부분의 세포질은 난황과 유구에 의해 충만된다. 배란후 난소소낭에 잔존하는 여포성장중인 난모세포들은 퇴화흡수되나, 아직 여포가 형성되지 못한 초기 주변인기 난모세포들은 퇴화되지 않고 이듬해 난소활성과 함께 성장되어 간다. 난모세포가 성숙되고 난황 축적이 활발해지면서 mitochondria와 과립성소포체가 급격히 증가하는데 이들은 난모세포의 성숙과 난황 축적에 기능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 같다. 성숙난모세포의 미세융모의 홈에 뻗은 여포돌기 선단에 난황전구물질로 생각되는 $5{\sim}6$ 층의 원반상고전자밀도 구조물이 나타나고 있다. 정소는 좌우 1 쌍의 엽상구조를 가지며 후방에서 합일되어 저정낭을 이룬다. 정소의 피질층은 정자형성이 일어나는 정소소낭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질층은 이들 소낭과 연결된 여러 갈래의 수정관이 분포한다. 성장중인 정소의 간질에는 소관상 cristae가 발달된 대형 mitochondria와 다수의 소포체를 가진 steroid 계 hormone 생성분필세포가 존재한다. 정자의 두부는 핵중앙에 깊이 함입된 중심강이 있어 U 자형을 이루고 첨체는 극히 빈약하다. 중편의 mitochondria는 커다란 구형의 부핵을 형성하고 있으며, 미부의 axoneme을 이루는 미세소관은 9+9+2형을 나타낸다. 생식연주기는 3월부터 7월에 걸친 성장기 5월부터 9월까지의 성숙기, 5월중순부터 10월 초순까지의 산란기, 그리고 10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의 휴식기 등 연속적인 주기로 구분할 수 있었고 산란성기는 6월부터 8월까지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