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Leaf Characteristics and the Photosynthesis of Korean Ginseng II. Seasonal Changes of Photosynthesis of 4-Year Old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고려인삼엽의 광합성능력에 관한 연구 II. 4년생 인삼의 광합성의 계절 변이

  • 조재성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 목성균 (한국인삼연초연구소) ;
  • 원준연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Published : 1985.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the seasonal differences i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hotosynthetic abilities and the dark respirations of the 4-year old ginseng leaves. Chlorophyll-a content in the ginseng leaf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September than at June but content of chlorophyll-b was not showed seasonal difference. At June, the amounts of chlorophyll a and b in the ginseng leaves grown in the back row were rather abundant than those grown in the front row, but no significant differencies were detected between rows at September. The estimated optimum light intensity for the photosynthesis of ginseng leaves was higher at June than at September and higher in the front row than the back row bu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air temperature above 25$^{\circ}C$. The light compensation point was elevated in higher temperature and at September than June. The amount of photosynthes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inseng plant grown in the front row than the back row at June but the reverse was significant at September. The highest photosynthesis was observed in temperature range of 20 - 25$^{\circ}C$ at June and range of 15 -20$^{\circ}C$ at September. The optimum temperature range of photosynthesis was 21$^{\circ}C$ to 25$^{\circ}C$ at June and 14$^{\circ}C$ to 21$^{\circ}C$ at September, and that was higher in the back row than the front row. High temperature significantly stimulated the dark respiration of ginseng leaves and the respiratory quotients(Q$\_$10/) of the ginseng leaves showed a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

본 연구는 4년생 고려인삼의 재식위치에 따르는 잎의 형태적 특성과 광합성능력 및 암호흡의 계절적 변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장, 엽폭, 엽중 및 엽면적지수는 후열에 비해 전열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고 또한 6월에 비해 9월에 증가된 경향이었으며 특히 후열엽의 충실도는 6월에 비해 9월에 뚜렷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2. 기공의 수 및 크기는 6월에 비해 9월에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엽록소a는 6월에 비해 9월에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엽록소b는 계절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또한 엽록소a, b 모두 6월에는 전열에 비해 후열에서 현저히 많았으나 9월에는 전후열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3. 광합성 최적광도의 추정치는 9월에 비해 6월에 높았고 또한 후열에 비해 전열 재식인삼이 높았으며 15~2$0^{\circ}C$에 비해 $25^{\circ}C$이상의 온도에서 현저히 낮았다. 광보상점은 온도가 높을수록 현저히 높아졌고 6월에 비해 9월에 현저히 높았다. 4. 최대광합성량은 6월에는 후열에 비해 전열에서 현저히 많았으나 9월에는 후열 재식인삼에서 오히려 현저한 증가를 보였고 6월에는 20~$25^{\circ}C$에서 그리고 9月에는 15~2$0^{\circ}C$에서 최대광합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현저한 광합성량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5. 광합성 최적온도는 6월은 21~$25^{\circ}C$였고 9월은 14~21$^{\circ}C$였으며 모두 전열에 비해 후열에서 현저히 높았다. 계절 및 재식위치에 관계없이 인삼엽의 암호흡은 온도상승에 따라 현저한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고 Q$_{10}$은 6월의 전열에서는 1.7~2.1이었고 6월 후열 및 9월 전후열 잎은 1.3~l.8의 범위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