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of Intermediate Product(Krill Paste) Derived from Krill

크릴을 원료로 한 식품가공용 중간소재(크릴페이스트) 가공에 관한 연구

  • LEE Eu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CHA Yong-Ju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OH Kwang-S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oo Jae-Keu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이응호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차용준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오광수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 구재근 (부산수산대학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85.05.01

Abstract

As a part of investigation to use the Anat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more effectively as a food source, processing conditions, utilizations and storage stability of krill paste (intermediate product of krill) were examined and also chemical compositions of krill paste were analyzed. Frozen raw krill was chopped, agitated with $25\%$ of water to the minced krill and then centrifuged to separate the liquid fraction from the residue. This liquid fraction was heated at $98^{\circ}C$ for 20 min. to coagulate the proteins of krill, and it was filtered to separate the protein fraction. Krill paste was prepared with grinding the protein fraction, adding $0.2\%$ of polyphosphate and $0.3\%$ of sodium erythorbate to the krill paste for enhancing of functional properties and quality stability. The krill paste was packed in a carton box, and then stored at $-30^{\circ}C$. Chemical compositions of krill paste were as follows : moisture $78\%$, crude protein $12.9\%$, crude lipid $5.9\%$, and the contents of hazardous elements of krill paste as Hg 0.001 ppm, Cd 1.15 ppm, Zn 9.1 ppm, Pb 0.63 ppm and Cu 11.38ppm were safe for food. The amino acid compositions of krill paste showed relatively high amount of taur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lysine and arginine, which occupied $55\%$ of total amino acid and also taurine, lysine, glycine, arginine and proline were occupied $65\%$ of total free amino acid. Fatty acid compositions of krill paste consist of $32.4\%$ of saturated fatty acid, $29.6\%$ of monoenoic acid and $38.0\%$ of polyenoic acid, and major fatty acids of product were eicosapentaenoic acid ($17.8\%$), oleic acid ($16.9\%$), palmitic acid ($15.3\%$), myristic acid ($8.7\%$) and docosahexaenoic acid ($8.4\%$). In case of procssing of fish sausage as one of experiment for krill paste use, Alaska pollack fish meat paste could be substituted with the krill paste up to $30\%$ without any significant defect in taste and texture of fish sausage, and the color of fish sausage could be maintained by the color of krill paste. Judging from the results of chemical and microbial experiments during frozen storage, the quality of krill paste could be preserved in good condition for 100 days at $-39^{\circ}C$.

크릴을 보다 유효하게 식량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크릴을 원료로 하여 식품가공용 중간소재, 즉 크릴페이스트(krill paste)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조건, 중간소재로서의 이용법 및 저장안정성을 검토하고 아울러 제품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동결크릴을 쵸퍼 (chopper)로 마쇄하고 마쇄크릴양에 대하여 $25\%$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한 다음 교반 해동한 후 원심분리($1,500{\times}g$, 10min.)하여 액즙과 잔사를 분리하는 것이 좋았다. 이 액즙을 간접가열방식으로 $98^{\circ}C$, 20분간 가열한 다음 스폰지상의 열응고단백질을 여포로 여과하여 마쇄함으로써 크릴페스트를 얻을 수 있었고, 동결저장 중 크릴페이스트의 결착성증진, 지질산화 및 변색방지를 목적으로 크릴페이스트에 대해 중합인산염 $0.2\%$와 sodium erythorbate $0.3\%$를 첨가하여 이를 carton box에 충전포장하여 접촉식동결장치로써 급속동결($-35^{\circ}C$)시킨후 동결저장하였다. 이때 부산물로 얻어지는 진한 도색의 새우와 같은 방향을 갖고 있는 엑스분은 그대로 또는 농축하여 조미료나 수우프소재로, 잔사는 양어이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상의 조건하에서 제조된 크릴페이스트제품의 일반성분은 수분 $78\%$, 조단백질 $12.9\%$, 조지방 $5.9\%$였으며, 수은, 카드뮴, 아연, 납 및 구리 등의 유해성중금속함양은 각각 0.001ppm, 1.15ppm, 9.1ppm, 0.63ppm 및 11.38ppm으로 이 는 식품위생적으로 안전한 함량이었다. 크릴페이스트제품의 구성아미노산은 taur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lysine 및 arginine등의 함량이 많아 전체아미노산의 $55\%$를 차지하였으며, 유리아미노산은 taurine, lysine, glycine, arginine, proline 등의 함량이 많아 전체유리아미노산의 $65\%$를 차지하였다. 또한 크릴케이스트제품의 지방산조성은 포화산이 $32.4\%$, monoene산이 $29.6\%$, polyene산이 $38.0\%$였으며, 주요 구성 지방산으로서는 eicosapentaenoic acid ($17.8\%$), oleic acid($16.9\%$), palmitic acid($15.3\%$), myristic acid ($8.7\%$) 그리고 docosahexaenoic acid($8.4\%$)의 함량이 많았다. 명태냉동고기풀로서 어육소시지를 가공할 때 제품 품질에 손색없이 크릴페이스트로서 명태냉동고기들을 $20{\sim}30\%$ 대체할 수 있었다. 또한 이때 식용색소를 사용하지 않아도 크릴페이스트의 색소만으로 어육소시지의 색깔을 유지시킬 수 있었다. 동결저장 중 크릴페이스트제품의 품질은 $-30^{\circ}C$에서 100일간 저장하여도 화학적, 미생물학적으로 안정하였고, 중합인산염 $0.2\%$와 sodium erythorbate를 $0.3\%$ 첨가함으로써 식품가공용 중간소재로서 제품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지질산화 및 변색도 억제시킬 수 있었다. 크릴을 원료로 하여 식품가공용 중간소재로서 이용가치가 있고, 저장성도 좋은 크릴페이스트제품을 가공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