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hort Infant Mortality Rate of Gunwee and Hapchun Counties and an MCH Center in Taegu

군위 및 합천군과 대구시 남구 모자보건 센터에서 관찰한 코호트 영아 사망률

  • Park, Jung-Han (Dep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Yeh, Min-Hae (Dep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un, Byung-Yeol (Dep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ong, Jung-Hub (Dep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Gui-Yeon (Dep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Jang-Rak (Dep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Sung-Euk (Health Center, Gunwee County) ;
  • Kim, Hyun (Health Center, Hapchun County) ;
  • Chung, Han-Jin (South District Health Center, Tasgu) ;
  • Cho, Jae-Yeon (Formerly Health Dept, Kyungpook Province)
  • 박정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예민해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천병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송정흡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귀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장락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조성억 (경북 군위군 보건소) ;
  • 김현 (경남 합천군 보건소) ;
  • 정한진 (대구시 남구 보건소) ;
  • 조재연 (전 경북도 보건과)
  • Published : 1990.03.01

Abstract

We followed up all the infants born to the married women under 50 years of age residing in Gunwee county, Kyungpook Province, between 1 April 1985 and 31 March 1987, and those born to the married women under 50 years residing in Hapchun County, Kyungnam Province, between 1 March 1987 and 28 February 1988, to their first birthday. Likewise, we followed up the infants born to the women who visited the MCH Center of South District Health Center in Taegu City for delivery between 1 April 1985 and 31 March 1987 to the 27th day after birth and obtained the infant mortality rate and the neonatal mortality rate, respectively. There were 17 infant deaths among 1,359 live births in Gunwee and Hapchun Counties and the infant mortality rate was 12.5 per 1,000 live births. Out of 17 infant deaths, 82.4 percent were neontal death and 17.6 percent were postnonatal deaths. Out of the 6,001 live births born to the women visited the MCH Center, 4,834 infants (80.6%) were followed up to the 27th day after birth. Of these 4,834 infants, 36 infants died before the 28th day after birth and thus the neonatal mortality rate was 7.4 per 1,000 live births. Comparison of the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the birth weight between infants who were followed up and those who were lost to follow-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ssuming that the neonatal and postneounatal mortality ratio had been 6:4, the infant mortality rate for the infants born at the MCH Center would have been 12.3 per 1,000 live births. Taking such findings into consideration as the infant mortality rate observed in Gunwee and Hapchun Counties, the neonatal mortality rate at the MCH Center, the causes of infant deaths, and the low birth weight incidence rate, a conservative estimate of infant mortality rate of Korea would be between 12 and 15 per 1,000 live births in $1985{\sim}1988$.

1985년 4월 1일부터 1987년 3월 31일 사이에 경상북도 군위군에 거주하는 49세이하의 가임여성들과 1987년 3월 1일부터 1988년 2월 28일 사이에 경상남도 합천군에 거주하는 49세이하의 가임여성들 그리고 1985년 4월 1일부터 1987년 3월 31일 사이에 대구시 남구 모자보건센터에 분만을 위해 찾아온 모든 임산부들을 대상으로 이들에게서 태어난 출생아들을 두 군지역에서는 생후 1년간 그리고 모자보건센터에서 출생한 경우는 생후 27일간 추적하여 영아사망률과 신생아 사망률을 각각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중에 군위군과 합천군에서 출생한 1,359명의 영아들 가운데 생후 1년 동안에 17명이 사망하여 농촌지역의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1,000명당 12.5이었다. 총 영아사망중 신생아사망이 82.4% 그리고 신생아 후기 사망이 17.6%를 차지하였다. 대구시 남구 모자보건센터에 내원한 산모들에게 태어난 6,001명의 출생아들 가운데 4,834명(80.6%)만이 생후 27일까지 추적되었는데 이들 중 36명이 사망하여 신생아 사망률은 출생아 1,000명당 7,4명이었다. 추적된 산모와 추적 안된 산모의 특성 및 신생아 체중을 비교한 결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신생아 후기 사망률의 비를 6 : 4로 가정했을 때 모자보건센터에서 출생한 영아의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1,000명당 12.3명으로 추정되었다. 군위군과 합천군의 영아사망률과 대구시 남구 모자보건센터에서 관찰된 신생아사망률, 영아사망의 사망시기별 분포와 영아사망원인 그리고 저체중아출생률을 고려할 때 1985년부터 1988년 사이의 한국의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1,000명당 12에서 15명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