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iotic environment and primary producer of estuarine pelagic ecosystem in the lower water of the Mankyung river and the Dongjin River I.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phytop

만경, 동진강 하구 표영생태계의 무생물 환경과 일차생산자 I. 환경 특성과 식물 플랑크톤의 군집 구조

  • Published : 1991.06.01

Abstract

In order to study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primary producers and their relations to abiotic environmental factors,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parameter were determined during the five times from October, 1989 to July. 1990. 159 taxa of phytoplankton have been identified and the most important species group is diatom which contributes to 70.4% of the total number of species. Ratios of phytoplankton group (neritic species, fresh water species, oceanic species) clustered by habitats were 52%, 18%, 12%, respectively, suggesting study area be the typical estuarine environment which is strongly affected by both fresh water discharge and sea water penetration. Species composition could be governed by the variations of salinity. the standing stocks of primary producer in the study area vary with space and time, showing close correlation with water transparency, and exhibit relatively larger than those of other coastal regions in the Yellow Sea. Spectransies diversity also showed large variation with space and time.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two regions (inner part and outer part): in fall and winter, outer area affected by the oceanic water, but in spring and summer, inner estuarine area heavily influenced by fresh water.

만경, 동진강 하구 표영 생태계에서 일차생산자의 군집 구조와 분포 양상 그리고 이들과 무생물 환경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1989년 10월부터 1990년 7월까지 5회 에 걸쳐 시료를 채집,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식물플랑크톤은 159종이 동정되었으며 규 조류가 70.4%로 가장 우세하였다. 생태특성으로는 연안종이 52%로 가장 우세하였고 담 수종 18%, 외상양 12% 순으로 나타나 담수와 외양의 해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하구역 의 특성이 뚜렷하다.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은 염분 변화에 좌우되는 것으로 사료된 다. 연구해역에서 일차생산자의 현존량은 시, 공간에 따라 크게 변하는데 투명도와 밀 접한 관계가 것으로 보이며 서해의 다른 해역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종 다양성 지수 역시, 시, 공간적으로 변화가 컸으며 10월에 최대, 5월에 최소치를 보였다. 연구해역 은 가을과 겨울에는 외양수에 의한 영향으로, 봄과 여름에는 강으로부터 유입되는 담 수에 의한 영향으로 크게 두 개의 해역으로 구분되어 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