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indicator species of copepods and chaetognaths in the middle East Sea of Korea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한국 동해 중부 해역의 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 특성

  • PARK Joo-Suck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LEE Sam-Seuk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KANG Young-Shil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HUH Sung-Hoi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Published : 1991.05.01

Abstract

Zooplankton samples were collected vertically from different layers with a closing net at 14 stations in the middle East Sea of Korea in February, August and September to study distribution of biological indicators for analysis of water masses.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s of important species of copepods and chaetognathas known as indicator species were closely related to distributions of different water masses and oceanic fronts. Pleuromamma gracilis, Calanus tenuicornis, Sagitta enflata and Sagitta minima were found to be reliable indicator species to determine warm water mass with warm core, and Calanus cristatus, Calanus tonsus and Sagitta elegans could be used as cold water species for evaluating the movement of cold current from North Korea, and Gaetanus armiger was deep sea water specie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North Korean Cold Current down to the south along the coast appeared to be significant in the surface around Chumunjin area, and from here towards the south the cold water containing S. elegans submerged under warm water with S. enflata which were about $2{\~}4^{\circ}C$ higher than that of the vicinity and reappeared near Chukpeon area in surface layer. In the layer between loom and 300m depths, distribution of Pleuromamma gracilis and Sagitta bedoti indicated that warm water mass and front zone influenced by the different water systems were formed in northwestern area off Ulreung-do. In $300{\~}500m$ layer, the proper cold water could be estimated to be present in the northwestern area off Ulreung-do throughout the survey period by the high abundance of Gaetanus armiger. In August, distributions of S. bedoti, S. enflata and S. minima were valuable index to find oceanic fronts and warm core.

요각류와 모악류 중 주요 수괴 지표종의 분포에 근거하여 한국 동해중부해역의 수층별 수괴의 시$\cdot$공간적 변동을 밝히기 위하여 14개의 정점에서 2월과 $8{\~}9$월에 폐쇄망으로 수층별로 동물 플랑크톤을 채집, 분석하였다. 요각류 중 난류 외양성 종인 Pleuromamma gracilis, Calanus tenuicornis와 모악류의 Sagita enflata 및 S. minima, 한류성 종인 Calanus cristatus, Calanus plumchrus 및 S. elegans 그리고 심해 한해성 종인 Gaetanus armiger의 분포와 수괴 변동과의 관계를 밝혔다. $0{\~}100m$ 수층에서는, 한류성 종인 C. cristatus, C. Plumchrus 및 S. elegans의 분포로써 북한한류 세력이 주문진 연안까지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주문진-죽변이북 연안해역에서 S. elegans는 출현하지 않다가 죽변연안에서 다시 출현하는 것은 동한난류의 강한 연안측 침투로 북한한류는 하층으로 잠입되고 표층에서 주변해역보다 약 $2{\~}4^{\circ}C$ 높은 고온수가 분포하기 때문이다. 난류종인 S. enflata의 출현역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100{\~}300m$ 수층에서는, 2월의 경우 울릉도 서북방 해역이 동한난류의 영향을 받는 수괴임을 C. tenuicomis와 P. gracilis의 분포로써 입증하였으며, $8{\~}9$월의 경우, 동한난류의 영향을 받는 울릉도 서북방 해역과 북한한류수계인 속초-주문진 연안역 사이에 혼합성을 띈 수괴가 존재하는 것을 S. bedoti의 분포로써 밝혔다. $300{\~}500m$ 수층의 경우, 2월과 $8{\~}9$월 모두 S. bedoti와 S. enflata의 출현수역인 울릉도 서북방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해고유수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9원에 있어서 전선 역에 혼합종인 S. bedoti가 풍부한 반면, 난류종인 S. minima와 S. enflata가 없거나 아주 소량 출현하는 것은 수괴 배치이동과 잘 일치하므로, 이들은 전선형성을 밝히는데 유용한 지표종들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