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s and distribution of Benthic Animals on the Mangyung-Dongjin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서해 만경.동진 조간대의 환경과 저서동물 분포

  • Published : 1992.03.01

Abstract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 fauna and environments in the Mangyung-dongjin tidal flat developed on the west coast of central korea. Samples were taken from 69 sites established on 8 transect lines running perpendicular to the coast. The 69 sites located in the range of -250 to 230 cm height from the mean sea level were categorized into 4 levels of exposure duration. The mean grain sizes of the surface sediments varied from 1.5 to $7.9{\varphi}$. Silty sands and sands were dominant sediment facies on the tidal flat. A total of 64 species of invertebrates was collected and the mean density was $1,335{\;}indiv{\cdot}\textrm{m}^2$. The dominant species was Laternula cf. limicola of Bivalvia (71% of total counts), followed by Umbonium thomasi of Gastropoda (22%), and Lingula anatina of Brachiopoda (2.6%). These 3 species comprised 95.5% of total individual number. The distribution of benthic animals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duration of tidal exposure. Perinereis association was the characteristic for the most exposed area, and followed by Macrophthalmus and Bullacta-Mactra-Umbonium association along the degree of exposure duration.

서해 중부연안에 발달된 만경.동진 조간대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의 분포 양 상을 살펴보고 분포와 환경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8개의 조사선, 총 69개 정점 을 선정하여 저서동물 표품 채취 및 환경요인을 측정하였다. 조사 정점들은 평균해수 면 아래 250 cm에서 평균해수면 위 230 m 사이에 위치했으며, 정점들이 간조시 노출되 는 정도는 연속노출시간의 차이에 따라 4개의 서로 구분되는 노출 범위로 나타냈으며, 상부조간대에서 하부조간대로 갈수록 조립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망경.동진 펄 조간 대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은 총 64종이었으며, 평균서식밀도는 $1,225{\;}개체{\cdot}1\textrm{km}^2$ 였다. 이매패류인 Laternula cf. limicola (71%) 북족류인 서해비단고동(22%), 완족류 인 Lingula anatina (2.6%) 등이 우점하고, 이들은 총 출현개체수의 95.6%를 차지하였 다. 만경.동진 펄 조간대의 각 지역은 환경조건에 따라 그 환경을 반영하는 저서동물 의 분포양상을 보여 주었는데, 특히 연속노출시간에 따라 구분된 각 노출범위에는 각 기 구분되는 동물의 분포가 나타났다. 연속노출시간이 가장 긴 상부조간대에서는 Perinereis 군집이 나타났고 연속노출시간이 감소하면서 차례로 Macrophthalmus, Bullacta-Mactra-Umbonium 군집이 형성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