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Pattern of Macrozoobenthos at the Farming Ground in the Western Part of Chinhae Bay, Korea

진해만 양식장 밀집해역의 저서동물 분포

  • LIM Hyun-Sig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CHOI Jin-Woo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JE Jong-Geel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LEE Jae-Hac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임현식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실) ;
  • 최진우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실) ;
  • 제종길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실) ;
  • 이재학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실)
  • Published : 1992.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distribution pattern of macrobenthic soft-bottom dwelling animals near the shellfish farming ground in Chinhae Bay, Korea Sampling was seasonally performed with van Veen grab$(0.1m^2)$ from October 1990 to July 1991. Benthic animals collected during the study comprised 107 species which amounted to 6,978 individuals: 52 species from polychaetes$(48.6\%)$, 34 species from crustaceans$(31.8\%),$ 14 species from molluscs$(13.1\%)$ and 7 species from other faunal groups$(6.5\%)$. The dominant species were four polychaetes and one amphipod: Lumbrineis longifolia, Capitella capitate, Mediomastus sp., Sigambra tentaculata and Erictonius pugnax.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3 regions based on the faunal similarity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in the surface sediment. The benthic community located near the shellfish farming ground showed large spatial and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in contrast to the stable values off the farming area. The oxygen deficient water mass below 2 ml/l In thi bottom layer during the summer stressed and depauperated the benthic community in the autumn of 1990. However, the benthic community did recover during the winter. It is postulated that the cyclic phenomenon of summer mortality followed by winter recovery may be a common characteristic in benthic communities subjected to a high level of organic pollution.

양식장이 밀집된 해역에 서식하는 저서동물의 분포양상을 알기 위하여, 진해만에서 1990년 10월에서부터 1991년 7월까지 계절별로 저서동물을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107종, 6,978개체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이중 갯지렁이류가 52종$(48.6\%),$ 갑각류가 34종$(31.8\%)$, 연체동물이 14종$(13.1\%),$ 기타 동물군이 7종$(6.5\%)$이었다. 우점종은 갯지렁이류인 Lumbrinepis longtfolia, Capitella capitate, Mediomastus sp., Sigambra tentaulata와 단각류인 Erictonius pugnax였다. 본 해역은 여름철에 수온약층이 형성되고, 2ml/l 이하의 저층 빈산소 수괴의 발달로 인해 저서군집이 파괴되어 가을철에는 출현종과 개체수가 매우 빈약하였다. 그러나 겨울로 접어들면서 저층용존산소량의 증가와 함께 저서생태계는 다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해만 서부해역의 저서동물 군집은 계절별, 정점별로 생태학적 지수의 변동이 큰 반면, 진해만 중앙부해역에서는 변동이 크지 않았다. 출현종 조성에 근거하여 본 해역은 진해만 서부의 만 안쪽에 2개, 중앙부의 바깥쪽에 1개의 3개 정점군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표층퇴적물내의 유기물 함량 분포와 연관성을 보인다. 따라서 양식시설물이 있는 조사 해역의 저서동물 군집은 양식장으로부터 유입되는 유기물과 여름철 형성되는 저층 빈산소 수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