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ction of the Adulterated Sesame Oil by the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s and Carbon Isotope Ratio

지방산조성과 탄소동위원소 분석에 의한 참기름에 혼입된 타식용유의 검출방법

  • 하재호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이화학연구부) ;
  • 허우덕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이화학연구부) ;
  • 황진봉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이화학연구부)
  • Published : 1993.08.01

Abstract

Fatty acid composition of sesame oil could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rapeseed oil and soybean oil by the content of linolenic acid. The relative composition of each fatty acid revealed the clear difference between sesame oil and other vegetable oils except corn oil. Ricebran oil was different from sesame oil in the relative composition of palmitic acid with respect to stearic acid and cottonseed oil in oleic acid to linoleic acid. ${\delta}^{13}C$ of corn oil was $19.40%_{\circ}$, in oleic acid and $-17.11%_{\circ}$, in linoleic acid, while that of sesame oil was $-27.60%_{\circ}$ in oleic acid and $-27.70%_{\circ}$ in linoleic acid. Therefore, most adulterant could be detected by comparing the ratio of fatty acids in vegetable oils except corn oil. It could, however, be detected by comparing carbon isotope ratio in the case of corn oil.

참기름의 품질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지방산조성과 탄소동위원소 비율을 측정하였다. 부정참기름을 제조할 때 주로 사용될 수 있는 5종의 식용유와 참기름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 유채유과 대두유의 경우 linolenic acid의 함량에 있어 참기름과 큰 차이를 보였다. 각종 식용유의 상대적 지방산조성비를 비교한 결과 미강유는 stearic acid에 대한 palmitic acid, 유채유는 oleic acid에 대한 linoleic acid, 면실유의 경우 oleic acid에 대한 linoleic acid의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혼입 여부를 추정할 수 있었다. 각종 식용유의 탄소동위원소를 측정한 결과 oleic acid의 경우 참기름 $-27.60%_{\circ}$, 미강유 $-29.56%_{\circ}$, 유채유 $-27.14%_{\circ}$, 면실유 $-27.03%_{\circ}$, 대두유 $-28.03%_{\circ}$, 옥배유 $-19.40%_{\circ}$이었고 linoleic acid의 경우 참기름 $-27.70%_{\circ}$, 미강유 $-28.53%_{\circ}$, 유채유 $-26.95%_{\circ}$, 면실유 $-26.84%_{\circ}$, 대두유 $-28.15%_{\circ}$, 옥배유 $-17.11%_{\circ}$로 나타났다. 지방산조성만으로 혼입여부를 추정하기 어려웠던 옥배유의 탄소동위원소비가 참기름의 탄소동위원소비보다 현저히 높아 혼입여부를 쉽게 추정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