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감주나무군락의 구조 및 유지기작

  • 이창석 (서울여대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김홍은 (충북대 농과대학 임학과) ;
  • 박현숙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 강상준 (충북대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
  • 조현제 (임업연구원 환경생태연구실)
  • Published : 1993.08.01

Abstract

Habitat types, community structure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Koelreuteria paniculata were investigated in Mt. Wolak, Chungbuk and Naesokdong, Daegu, which are natural habitats of the species in inland region of Korea, and its origin was discussed. Habitats of Koelreuteria paniculata were classified to 3 types: sand bar formed by the sands flooded in the course of flow of the mountain stream (Type 1). crevice on the rock bed within the mountain stream (Type 2) and crevice of the rock around the edge of mountain stream (Type 3). Most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ies in Mt. Wolak site were composed of 3 layers of subtree layer, shrub layer and herb layer and that of Daegu site was 4 layers including tree layer. In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e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plants occurring frequently in the wet and open site, such as Zelkova serrata and Fraxinus rhynchoph-vlla showed high frequency. Frequency distribution of diameter at ground surface of Koelreutrria paniculata showed reversed J-shaped type. It was supposed that expansion of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in Mt. Wolak site might be accomplished by the flow of the stream. Many saplings capable of becoming a successor of mature trees in Daegu site in near degenerating phase were established on the forest floor of the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From this result, it was supposed that these saplings originated from the seeds dispersed from a seed tree might form the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of the next gen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origin of Koelreutevia paniculata in inland sites was explained by two hypotheses: the one was that Koelreuteria paniculata might be transplanted by human and the other was that the present site might be native habitat of the community.

모감주나무의 내륙지방 자생지인 충북 월악산 송계계곡과 대구시 내속동 소재 모감주나무군락을 대상으로 군락형성지의 생육환경유형, 군락의 구조, 개체군 특성 등을 조사하여 군락형성지의 특징과 그 군락의 확장 및 유지기작을 밝혔다. 모감주나무군락의 모래 언덕(Type 1), 계류내 암반 위(Type 2), 계류변 암극지(Type 3)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월악산 지소에서 모감주나무군락의 계층구조는 대 부분 아교목층, 관목층 및 초본층의 3층 구조로 이루어졌고 대구시 지소의 것은 교목 층을 포함하여 4층 구조로 이루어졌다. 모감주나무군락의 식생조성에서 보면 습지소의 개활지에 자주 출현하는 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는데, 교목성식물은 느티나무와 물푸 레나무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모감주나무개체군의 지표직경급의 빈도분포도는 역 J자 형을 나타내었다. 모감주나무의 전파기작은 인간에 의한 식재, 야생동물에 의한 전파, 물의 흐름에 의한 전파 등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본 연구를 수행한 지소의 것은 모두 첫 번째 기작보다는 두 번째와 세 번째 기작에 의해 전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감 주나무의 초기 생식연령은 5년이었으며, 초기 전파단게에 있는 월악산의 한 지소에서 모수와 유식물 사이의 연형 차이는 5년 이상이었다. 군락의 발달단계에서 노쇠기에 접 어든 것으로 판단되는 대구시 지소의 모감주나무 성숙림의 임상에는 성숙목의 후속수 가 될 수 잇는 다수의 유식물이 성숙목의 수관 밑과 주변분에 모두 고르게 정착해 있 어 모수로부터 산포된 종자에 기인한 이러한 유식물들이 다음 시대의 모감주나무군락 을 형성할수 있을 것으로 판된되었다. 한편, 내륙지방 모감주나무군락의 기원은 인위전 파설과 자생설로 설명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