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임하댐 일대의 삼림식생에 대한 군락생태학적 연구

  • 송종석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김헌규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3.08.01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lassify and describe the forest vegetation on Imha-dam area, located at the northern part of Kyungsang-pookdo, Korea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of the Z-M school. The field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in 60 plots around the dam area from May 1, 1991 to October 10, 1992. The vegetation data obtained were classified by the table comparison method. As a result, the following vegetation units were recognized: A. Pinus densiflova community A-a. Miscanthus sinensis group A-b. Carex humilzs group A-c. Typical group B. Quercetum variabili-serratae Kobayashi, Muranaga et Takeda 1976 C. Robinin pseudo-acacia-Conzmeli~ta comnzultis community D. Larix leptolepis community The vascular plant species of these forest communities consist of 63 families, 144 genera, 191 species and 30 varieties. Also the relationship of the vegetation units with their environments such as altitude, slope, topography and soil condition was discussed here. On the basis of the floristic composition, life-form spectrum and soil analysis, a sere for the forest vegetation was proposed as follows: Rohinia pseitdo-acacia-Conz~neli~za communis community and Larix leptolepis community $\rightarrow$ Pinus densiflora community $\rightarrow$ Quercetunz variahili-serratae $\rightarrow$ Quercus mongolica community. Lastly, relating to the nature conservation of dam area, some of pla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경상북도 안동군 임하댐 유역의 삼림식생을 분류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그 결과 다음의 4군락이 식별되었다: 소나무군락, 굴참나무-졸참나무군집, 아까시나무-닭의 장풀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이중에서 소나무군락은 특히 인위적 영향이 미친 정도에 따라 다시 억새조성군, 산거울 조성군, 전형조성군 등 3하위단위로 세분되었다. 이들 삼림군락에 출현한 유관속식물은 총 63과 144속 191종 30변종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 식별된 각 군락의 상관적, 종조성적 특징 및 고도, 경사, 지형, 토양과 같은 생육지의 환경조건이 기술되었다. 또, 상관적, 종조성적 특징과 함께 생활형의 분석 및 토양분석을 통하여 조사지에 있어서 일련의 천이경도를 명백히 하였다. 이와 관련한 삼림군락의 천이계열은 아까시나무-?의 장풀군락.일본잎갈나무군락\longrightarrow소나무군락\longrightarrow굴참나무-졸참나무군집\longrightarrow신갈나무군락의 순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귀납되는 사항으로서 댐의 건설을 전후한 자연생태계의 보전 방향이 제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