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Eastern Part of the Yellow Sea and the Korean West Coast

황해 동부 대륙붕과 한반도 서해안 표층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A total of 76 surface sediment samples, collected from the Korean west coast and the eastern Yellow Sea areas, were analyzed for their elemental compos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deposits. The analyzed elements included 9 major elements (Al, Fe, Na, K, Mg, Ca, Ti, P, Mn), 8 minor elements (Sr, Ba, V, Cr, Co, Ni, Cu, Zn), organic carbon and calcium carbonate. Contents of most analyzed elements, excluding K and Ba, were generally low compared to those of average crust. Contents of most elements, except K and Ca, also correlated with sediment grain size, though the degree of relationship varied widely from one element to another. For fine-grained sediments, a distinction could be made between those in the central Yellow Sea and those in the Keum Estuary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 elemental composition: the former were rich in Fe, Na, K, Mg, Ca and V, and the latter in Mn, Co and Ni. The element/aluminium ratios, on the other hand, showed that the central Yellow Sea muds were enriched in Fe, Mg, V, Ni, Cu and Zn and depleted in K, Mn, Ba and Sr relative to the mud located near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results, as well as of the influences of particular mineral phases or pollution effects, we could suggest geochemical criteria which can be used in distinguishing muds from the two different sources, the Keum River and the Yellow River: the former by the higher Mn content and the latter by the higher Mg and V contents, relative to each other.

한반도 서해안의 금강하구와 연안 조간대 및 황해 동부 대륙붕에서 채취된 76개의 표층퇴적물 시료에 대하여 Al, Fe, Na, K, Mg, Ca, Ti, Mn 등 9개 주성분원소와 Sr, Ba, V, Cr, Co, Ni, Cu, Zn 등 8개 미량 금속원소, 그리고 유기탄소 함량과 탄산염 함량 등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분석된 원소들의 함량은 K과 Ba을 제외하곤 지각의 평균함량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K과 Ca 등을 제외한 대부분 원소의 함량이 퇴적물 입도와 관련성을 보였다. 연구지역 내에서 퇴적물의 화학성분 함량은 퇴적환경 이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세립퇴적물의 경우 금강하구의 퇴적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Mn, Co, Ni의 함량이, 그리고 황해중앙이토에서는 높은 Fe, Na, K, Mg, Ca, V의 함량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한편. 원소함량을 Al함량으로 나눈 함량비의 공간적 분포로부터는 황해중앙이토에서 Fe, Mg, V, Ni, Cu, Zn 등이, 그리고 한반도 연안에서는 K, Mn, Ba, Sr 등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렇게 분석된 세립퇴적물 지화학 특성의 지역적 차이, Al에 대한 함량비의 분포경향, 지각 평균함량을 기준한 원소의 농축비, 특정 광물분포의 영향, 오염의 가능성 등 제반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본 연구지역에 유입되는 한반도 기원 세립물질과 중국 기원 세립물질을 구분할 수 있는 지화학적 지표로서 각각 Mn과 Mg-V이 제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