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vity and Magnetic Model Study of Block Ⅵ-2, Offshore Korea

한국근해 제 6광구에 대한 중력 및 자력 모델 연구

  • Baag Czango (Department of Geophysic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angwe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
  • Baag Chang-Eob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창고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물리학과) ;
  • 박창업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과학과)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Two-dimensional gravity and magnetic models were constructed for seismic profiles in Block Ⅵ-2, offshore Korea. For each seismic profile, a longer length model showing geometric configurations of all employed polygonal bodies and an expanded version of the area of interests were made. The results of this modeling study indicate 1) that the depth to the deeper basement surface appear to be shallower than indicated in the seismic sections, 2) that the Middle Miocene section (the bottom formations in the models) appears to contain significant amounts of volcanic materials, 3) that identification and/or determination of depth to the top of basement is difficult in the study area due to thick volcanic materials in the lowermost formation (Middle Miocene), and 4) that the study area is unfavorable for hydrocarbon generation and accumulation due to wide spread volcanic activities during the Middle Miocene Epoch. The maximum calculated depth to the magnetic basement in the study area is approximately $4{\cal}km$ sub-sea.

한국근해 제 6광구내의 탄성파탐사 단면도에 대한 이차원의 중력 및 자력모델을 연구했다. 각 단층면에 대하여 사용된 모든 지층의 기하학적 형태를 보여주는 긴 모델과 중요한 부분을 확대한 모델을 작성했다. 이 모델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지시한다. (1) 보다 깊은 기반암까지의 심도는 탄성파탐사 단층면에서 보여주는 깊이보다 약간 깊은 것 같고, (2) 중기 마이오세 지층(모델에서 최심부층)은 무시못할 양의 화산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 같고, (3) 최하심층(중기 마이오세)에 포함된 두터운 화산암 물질 때문에 본 연구지역내에서 기반암의 상부면까지의 깊이를 정의하거나 결정하기가 어렵고, (4) 중기 마이오세 동안의 광범위하게 있었을 화산활동 때문에 본 연구지역은 탄화수소(석유 또는 천연가스)가 생성 또는 집적됐을 유망지역이 될 수 없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지역에서 가장 깊은 기반암까지의 깊이는 해수면에서 약 $4{\cal}km$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