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Frozen Geoduck (Panope japonica A. Adams)

코끼리조개의 월별 조성변화와 가열 전처리가 냉동저장중의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 You Byeong-Jin (Department of Food Science, Kangreung National University) ;
  • JEONG In-Hak (Department of Fish. Resource Development, Kangreung National University) ;
  • LEE Ka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CHOI Heong-Gil (Department of Food Science, Kangreung National University)
  • 유병진 (강릉대학교 식품과학과) ;
  • 정인학 (강릉대학교 수산자원개발학과) ;
  • 이강호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최흥길 (강릉대학교 식품과학과)
  • Published : 1993.11.01

Abstract

To obtain a basic data of Korean geoduck(Panope japonica A. Adams) for fast food manufacturing, contents of proteinous compounds, nucleic acid and related compounds were analysed, and monthly changes of proximate compositions and freshness changes during frozen storage have been studied. The edible portions were $29.92\%$ in 3 years old samples and $38.04\%$ in 5 years old ones, respectively. The moisture and protein content showed the highest level from March to April and those of lipid and glycogen showed the highest level in July. Taurine, glycine, alanine and glutamic acid were the major free amino acid in 5 years old samples harvested in July and taurine content showed the highest level among free amino acids. Glutam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among the amino acids of protein hydrolyzate in 5 years old sample(96.6mg/16g-N). Leucine and lysine were revealed as relatively higher content(8.35 and $7.70\%$). From the analytical results on VBN, TMAO, TMA and $NH_2-N$, blanching at $95^{\circ}C$ for 2 mins was effective to maintain the quality of geoduck during frozen storage. Total creatine content was not changed in blanched geoduck.

코끼리조개를 fast foods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물리적 성상, 유리 및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 핵산관련물질, 월별 성분변화 및 냉동기간중의 선도변화를 측정 하였다. 3년생과 5년생의 경우 내장을 제거한 가식부의 수율은 각각 29.92, $38.04\%$이었다. 7월에 채취한 코끼리조개의 유리아미노산중 taurine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Gly, Ala 및 Glu 함량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구성아미노산에 있어서는 Glu 함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Ala이었다. 필수아미노산으로는 Leu과 Lys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 월별 성분변화에 있어서 수분, 단백질은 3월, 4월에 가장 높았으며 지방과 글리코겐은 7월에 가장 높았다. 핵산관련물질중 5'-GMP의 량은 4월에 채취된 시료보다 7월에 채취된 것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냉동저장중 VBN, TMA, $NH_2-N$의 함량변화에 있어서는 $95^{\circ}$에서 2분간 열처리한 시료는 열처리하지 않은 시료에 비하여 증가율이 낮았기 때문에 열처리조작이 선도유지에 효과적이었으며 냉동저장중 총 creatine함량의 변화에 있어서는 열처리 조작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