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related Behaviors : Theoretical Models and Research Findings

국민 건강의 결정 요인 3 : 질병예방 및 의료이용행태

  • Bae, Sang-Soo (Department of Soci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배상수 (한림대학교 사회의학교실)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A wide range of health professionals have interest in changing the health behavior of individuals. To intervene effectively and to make informed judgements about how to measure the success of such interventions, health professionals must have an deep understanding of health behavior.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thories of health-related behaviors an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each, how the theories relate to others, and how they can be used in practice. The theories reviewed include Suchmann's stages of illness experience, Health belief model, Attribution theory, Fishbein's theory of reasoned action, Multiattribute utility models,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and Anderson's models. Finally, this paper introduces the reader to interesting research findings in our country.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국민들의 예방행태와 질병행태, 그리고 환자역할에 대하여 기존에 발표된 자료를 중심으로 재해석을 기하여 보았다. 물론 이 발표에서 사용된 자료들이 정확하며 타당한 자료인가에 대해서는 반드시 그렇다라고 답변할 수는 없다. 다만 우리나라에서의 건강관련행태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한계라는 현실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는 사실을 이해해주기 바란다. 우리나라국민들의 건강행태는 과거에 비해 상당히 변화하고 있으나 계층간의 행태의 차이, 변화의 원인 등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미흡하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행태연구들이 정합적인 모형을 사용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것이 그 원인의 하나 일 것이다. 새로이 개발된 모형들을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사용되는 변수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행태와 관련된 연구에서 사용되는 변수들이 사회문화의 산물이라는 사실을 생각하면 우리나름대로의 변수정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하겠다. 끝으로 행태를 연구함에 있어 인간의 의식은 사회구조의 산물이라는 사실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루카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노동자의 계급의식 역시 자본주의 구조의 산물일 수 있다 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지식, 태도, 행태 등에 대한 연구는 사회구조의 총체성에 대한 인식을 요구한다.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행태연구를 통한 결과가 희생자비난의 논리로 악순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