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Propertie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and Levels of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during Fermentation

젓갈의 종류 및 첨가수준에 따른 배추 김치의 발효기간 중 특성변화

  • Kim, Kwang-Ok (Department of Foods and Nutri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Kim, Won-Hee (Department of Foods and Nutrition, Ewha Womans University)
  • 김광옥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원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4.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kinds and the levels of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shrimp and juice of anchovy, on the propertie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and contents of total acid, reducing sugar, and organic acid examined except lactic acid contents among the kimchi samples at the same fermentation period. Until four days of fermentation, kimchi containing higher level of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juice tended to have greater number of total microorganisms and of Leuconostoc genus microorganisms than the other kimchi samples.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at the same fermentation period. significant decrease in pH and in reducing sugar content, and increase in total acid content were noticed in all the kimchi samples during fermentation. This was more marked in kimchi samples containg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Contents of malic and succinic acids decreased while those of actic and acetic acids increased with longer fermentation.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numbers of microorganisms during fermentation. Carbonic mouthfeel, salty taste, sour taste and staled flay or of all the kimchi samples increased while firmness and crispness decreased with extended fermentation.

소금만으로 짠맛을 낸 김치를 대조군으로 하고 염도가 동일하도록 소금과 새우젓 또는 멸치액젓을 각각 두 수준으로 첨가하여 배추 김치를 제조하여 $20^{\circ}C$에서 발효하는 동안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김치군의 pH는 감소하고 총산함량은 증가하다가 후기에는 그 정도가 완화되었다. 특히 발효 초기에 새우젓군의 pH 감소가 현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전 발효기간을 통해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고젓가군, 저젓갈군의 순서로 감소되었고,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김치군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발효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malic acid와 succinic acid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증가하였다. 전 발효기간을 통하여 lactic acid는 젓갈군이 대조군보다, 고젓갈군이 저젓갈군보다 그리고 새우젓군이 멸치젓군보다 측정치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총균수와 Leuconostoc속 미생물 수는 발효가 계속될수록 증가하다가 4일 이후에는 감소하였으며, Lactobacillus plantarum의 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 중 탄산미, 짠맛, 신맛, 군덕내는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김치군이 점점 더 강하고 경도와 아삭아삭한 정도는 점점 더 약하게 평가되었으며, 젓갈군의 신맛이 대조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약간 강한 경향이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