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Squid(Todarodes pacificus) Sik-hae in Kang-Nung District -2. The Effects of Fermentation Temperatures and Periods on 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and the Partial Purification of Pretense-

강릉지방의 오징어 식해 개발에 관한 연구 -2. 숙성온도 및 기간에 따른 화학적 변화, 미생물 변화 및 단백질 분해 효소의 정제-

  • KIM Sang-Moo (Department of Fisheries Resources Development,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 CHO Young-J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LEE Keun-Tai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김상무 (강릉대학교 수산자원개발학과) ;
  • 조영제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이근태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4.05.01

Abstract

In order to develop the squid(Todarodes pacificus) sik-hae, the changes of TBA, fatty acids, free amino acids, and the number of microflora fermented at different fermentation temperatures and periods were determined. In addition, pretense from squid sik-hae was partially purified. The number of TBA was the highest after 5-day storage and decreased after that, and lipid oxidation was the highest at $10^{\circ}C$. The amounts of linoleic aid(18:2) and oleic acid (18:1) were about $60\%$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squid sik-hae, and linolenic acid(18:3) and EPA(20:5) significantly decomposed with increasing fermentation periods and temperatures. Pro, His, Aeg, Leu, and Glu were composed mainly of amino acid and the composition ratios of Ser, His, and Arg decreased with increasing fermentation periods whereas, those of Glu, Ala, Val, and Tyr increased. The composition ratios of Glu, Val, and Met increased with increasing fermentation temperatures whereas, those of Ala, Cys, Thr, and Gly decreased. The number of microflora generally increased up to 15-days of storage and decreased after that. The rates of increass and decreass of the microbial number increased in proportion to fermentation temperatures. In addition, the bacteria producing proteases were identified as Bacillus spp. Proteases from $60{\sim}80\%$ ammonium sulfate concentration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nd had about 15 binds with molecular weights between 20,000 and 40,000 Dalton by the SDS-PAGE.

오징어 식해 개발을 위하여 식해 숙성시 숙성온도 및 기간에 따른 TBA, fatty acids, free amino acids 및 미생물의 변화와 단백질 분해효소의 정제 실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TBA 값은 각 온도에서 숙성 5일만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가 감소하였으며 숙성온도 $10^{\circ}C$에서 지질의 산화가 가장 많았다. 오징어 식해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18:2), oleic acid(18:1)가 $60\%$ 이상 점유하였으며 EPA(20:5) 및 linilenic acid(18:3)은 약 $13\%$ 정도였다.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linolenic acid 및 EPA는 현저하게 분해되었으며 $10^{\circ}C$$15^{\circ}C$에서 지방산화가 촉진되었다. 식해의 유리 아미노산 조성 은 Pro, His, Arg, Leu, Glu 등이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Ser, His, Arg 등은 점유율이 낮아지며, 반면에 Glu, Ala, Val, Tyr 등은 높아졌다. 그리고 숙성온도가 증가할 수록 Glu, Val 및 Met은 점유율이 증가하였으며 Ala, Cys, Thr 및 Gly은 감소하였다. 미생물의 변화는 총균수는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숙성 10일만에 최대로 되었다가 그 후 감소하였다. Lactic acid bacteria 수는 각 숙성온도에서 숙성 15일째에 최대였다가 그후 감소하였으며 숙성온도가 높을 수록 증가속도 및 감소속도도 빨랐다. Proteolytic bacteria 수는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증가량 및 속도가 빨랐으며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량도 많았다. Psychrotrophs수는 $10^{\circ}C$ 숙성에서 제일 높았으며 숙성기간 15일째가 최대였다. 단백질분해능이 강한 균주들을 동정하였을 때 모두 Bacillus 속으로 밝혀졌다. 단백질 분해효소는 ammonium sulfate $60{\sim}80\%$ 농도 사이에서 최대로 추출되었으며 이온교환수지로 정제하였을 때 3개의 peak중 마지막 peak에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전기영동 결과 분자량이 대략 $20,000{\sim}40,000$사이에 15개 정도의 bands가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