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pth in Deukryang Bay , Culturing Ground of Pen Shell ( Atrina Pectinata )

수심에 따른 득량만 키조개 어장의 환경특성

  • Published : 1995.06.01

Abstract

The distribution of water mass in Deukryang Bay was investigated using observational data obtained on July 12 (spring tide) and 19 (neap tide) in 1994. In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 at the bay the area is divided into three ones by a vertical attenuation coefficient k and a stratification parameter, log sub (10) (H/U super (3)), was H is depth, and U mean velocity in the bay. The contour of k=0.6 has a similar distribution to the isobath of 10m depth in spring tide, and of 5m depth in neap tide,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the water mass in the area between the isobath of 5m and 10m depth is changed by tidal periods. The stratification parameter corresponding to k=0.6 was 2.1~2.2. In the shallow water of 5m depth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 was distributed in temperature of 25.5~31.$0^{\circ}C$ and salinity of 32.8~33.8PSU(Practical Salinity Unit), the temperature was high and the salinity distributed widely. In the deep water of 10m depth it was the temperature of 22.0~29.5$^{\circ}C$ and the salinity of 33.0~33.6PSU, the temperature was low and the salinity distributed narrowly. In the middle depth water of 5m to 10m depth, the temperature of 22.0~30.$0^{\circ}C$ and the salinity of 32.8~33.5PSU, its values showed the middle between the values of the deep area and the values of the shallow area.

득량만의 키조개 어장의 해양 환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4년 7월 12일(대조기)과 19일(소조기)에 걸쳐 득량만의 수형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득량만은 관측 기간중에 대조기와 소조기에 따른 빛의 연직감쇠계수(k)가 0.6인 곳을 경계로 하여 3개 해역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조석 주기에 따른 k가 0.6인 등치선의 변화는 대조기에는 약 10m인 등수심선, 소조기에는 약 5m인 등수심선과 유사하게 분포하였다. 따라서 득량만의 수심 약 5~10m인 해역은 조석 주기에 따라서 수형의 특성이 뚜렷하게 바뀌는 수역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수심 약 5~10m인 만 중앙 해역은 T-S diagram에서 대조기때는 수심이 얕은 해역의 수형군에 가까이 분포하고, 소조기때에는 수심이 깊은 수형군에 가까이 분포하였다. 그리고 성층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인 log 하(10)(H/U 상(3))의 값은 수심 5m와 10인 등수심선에서 약 2.1~2.2의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본 연구 기간인 1994년 7월 동안은 혹서와 갈수로 인하여 예년치보다도 기온은 약 2$^{\circ}C$이상 높았으며, 강수량은 예년치보다도 훨씬 낮은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하여 득량만의 수괴의 밀도는 관측 기간동안 주로 수온에 의해서 결정되고 있었다. 앞으로는 기상 자료 및 득량만에서의 과거 누년자료를 분석하여, 이상(abnormal) 고수온년에 대한 만내의 물리적인 변동, 조류와 해저 지형에 기인한 내부파의 형성이나 연속 관측에 의한 급조등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