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erature and Salinity Distribution in Deukryang Bay in Summer of 1992-93

1992-93년 하계 득량만의 수온과 염분의 분포

  • KIM Sang-Woo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CHO Kyu-Dae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RHO Hong-Kil (Department of Fishery, Cheju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 Chul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IM Sang-Hyun (Department of Fishery, Cheju National University) ;
  • SHIN Sang-Il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김상우 (부산수산대학교 해양학과) ;
  • 조규대 (부산수산대학교 해양학과) ;
  • 노홍길 (제주대학교 어업학과) ;
  • 이재철 (부산수산대학교 해양학과) ;
  • 김상현 (제주대학교 어업학과) ;
  • 신상일 (부산수산대학교 해양학과)
  • Published : 1995.01.01

Abstract

As a part of the multidisciplinary oceanographic study for the productivity enhancement in Deukryang Bay,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observed from 1992 through 1993. From the results, only the data in summer of two years are compared. Owing to the contrary meteorolgical conditions in both summers both of temperature and salinity had the patterns of horizontal distributions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1992 with low precipitation, there was a tendency of temperature increase and salinity decrease from the bay mouth towards the bay head. In 1993 when the air temperature was abnormally low, isotherms and isotherms tended to be parallel to the local u3s of the bay where the warmer and less saline water distributed along the western coast. Reduced solar radiation and increase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distribution of properties along the current that was parallel to the axis of the bay could be responsible for this result. Vertical structures of both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dependent on the stirring effect of tidal current. Stratification was destroyed during the spring tide while it was formed during the neap tide.

1992년부터 1993년까지 수행된 득량만의 양식생산성 향상을 위한 종합적 해양조사의 일환으로 수온과 염분 관측을 실시한 결과 중에서 하계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해에 여름철의 기상조건은 서로 대조적이었는데 1992년에는 비가 적고 맑은 날이 많았던데 비해 1993년에는 흐린 날이 많고 강수량 또한 많아 이상저온 현상이 심했다. 이러한 기상의 영향은 만내의 수온과 염분의 분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바람이 대체로 약한 여름에는 태양복사에 의한 열 공급과 조류에 의한 연직혼합 및 해수순환에 의한 열 수송에 의해서 수온분포가 결정되는데, 염분분포에는 열 공급 대신에 강수에 의한 담수의 공급이 중요해진다. 서부와 북동부의 천해역이 고온저염수가 분포하여 입구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수온은 증가하고 염분이 감소하는 1992년과는 달리 1993년에는 등온선과 등염선이 만의 종축과 평행한 경향이 강하여 많은 강수량과 함께 복사열의 공급이 감소 한데다가 만의 종축 방향으로 흐르는 조류와 항류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증가된 결과로 해석된다. 한편, 연직분포에 있어서는 조류가 강한 대조기에는 성층이 파괴되며 소조기에는 성층이 발달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