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mersal Fish of Asan Bay -IV. Tempor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from 1990 to 1993-

아산만 저어류 -IV 종조성의 최근 3년간(1990-1993) 변화-

  • LEE Tae-Wo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HWANG Sun-Wa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5.01.01

Abstract

Temporal variation of demersal fish in Asan Bay was determined by analyzing seasonal samples collected by an otter tyawl from November 1990 to August 1993. Of 49 species identified, Cynogiossus joyneri, Thrissa koreans and Johnius belengerii predominated in abundance, consisting of $84.7\%$ in fish numbers and $70.5\%$ in biomass. The number of speci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 Fish numbers and biomass were comparatively high 3n spring, summer and tall, and low in winter. Community structure,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rank correlation, showed a clear seasonal trend,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the seasonal effects such as temperature.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ir abundance in the study area were lower than those in other embayments of Korean peninsula. It seems that unstability of the sediments by tidal mixing caused this phenomenon. The total number of species decreased annually. The species of which the frequency of occurrence tends to diminish as time were mainly composed of the species which rarely occurred with low abundance.

1990년 11월에서 1993년 8월 사이 아산만에서 소형 otter trawl을 이용하여 계절별로 저어류를 채집하여 시간에 따른 종조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동안 49종의 어류가 출현하였으며, 그 가운데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곤어리 (Thrissa koreana)와 민태(Johnius belengerii)가 우점하여, 전 채집 개체수의 $84.7\%$, 전채집량의 $70.5\%$를 차지하였다 출현종수는 뚜렸한 계절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개체수와 생체량은 봄에서 가을 사이의 난수기에 높고 겨울에는 낮은 값을 보였다. 각 계절 채집된 어류의 순위를 이용하여 주성 분분석한 결과, 정점간의 차이는 적었으나 계절에 따른 경향을 나타내어 조사 해역 저어류의 종조성은 수온이나 혹은 수온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요인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보인다. 아산만 저어류는 한반도 주변 다른 내만역에 비하여 출현종수 및 생물량이 적었으며, 이것은 조류에 의한 해수 혼합이 활발하여 서식처인 해저퇴적물이 불안정한데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출현종수는 해에 따라 유의한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감소하는 종은 출현빈도가 낮고 채집량도 적은 종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종들은 환경의 내구범위 한계에 서식하여 왔으나, 최근의 인위적 환경 변화로 인하여 내구범위를 벗어나 더 이상 만 내에서 살 수 없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