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Marine Algae -2. Dietary Fiber Contents and Distribution of the Algal Polysaccharides-

식용해조류중의 미량요소와 특수기능성 당질 -2. 산지와 채취시기별 식이성섬유질 함량의 변화와 해조다당류의 분포-

  • KIM Doo-Sang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LEE Dong-Soo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CHO Deuk-Moo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Tongnae Women]s Junior College) ;
  • KIM Hyeung-Ra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Yosu National University) ;
  • PYEUN Jae-Hyeung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 Scienc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김두상 (부산수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동수 (부산수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조득문 (동래여자전문대학 식품영양과) ;
  • 김형락 (여수수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변재형 (부산수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5.05.01

Abstract

This report described on the soluble, insoluble, and total dietary fiber level depending on the harvesting seasons and habitats in 9 species of marine algae.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were comprised $25.4-38.1\%$ (dry basis) in green laver and $35.4-43.8\%$in sea staghorn of green algae, $34.2-48.8\%$ in sea mustard, $37.5-47.8\%$ in seaweed fusiforme, $42.9-71.3\%$ in gulf weed, and $37.1-45.1\%$ in sea tangle of brown algae, and $31.3-40.5\%$ in laver, $51.5-60.4\%$ in seaweed dilatata, and $57.1-65.8\%$ in seaweed furcata of red algae. Relatively high levels of both soluble and insoluble dietary fibers were found in seaweed furcata and gulf weed. The ratio of soluble dietary fiber to total dietary fiber was the highest in green laver $(43.7-64.8\%)$, sea mustard $(17.5-31.3\%)$, and seaweed furcata $(44.7-63.2\%)$ in their respective groups. The highest level of algal polysaccharides was confirmed to be an alkali-soluble alginic acid $(9.0-15.1\%)$ in whole brown algae, porphyran$(5.8\%)$ in laver, agar $(20.0\%)$ in seaweed furcata, and carrageenan $(23.8\%)$ in seaweed dilatata of red algae.

우리나라 대표적인 식용해조 (녹조류-참흩파래, 청각: 갈조류-미역, 톳, 모자반, 다시마; 홍조류-얼룩도박, 참김, 불등풀가사리) 9종을 대상으로 가용성 식이섬유질, 불용성 식이섬유질 및 총 식이섬유질의 함량을 주요 산지 (기장, 충무, 여수)와 채취 시기별로 측정$\cdot$검토하고, 특히 갈조류와 홍조류에 대하여는 해조 다당류의 분포를 분석 비교하였다. 총 식이섬유질은 녹조류 중의 참흩파래가 $25.4-38.1\%$ (이하 건물중의 비율), 청각은 $35.4-43.8\%$를, 갈조류 중의 미역은 $34.2-48.8\%$, 톳은$37.5-47.8\%$, 모자반은 $42.9-71.3\%$, 다시마는 $37.1-45.1\%$를, 그리고, 홍조류 중의 참김은 $31.3-40.5%$, 얼룩도박은$51.5-60.4\%$, 불등풀가사리는 $57.1-65.8\%$를 각각 함유하였다. 가용성 식이섬유질과 불용성 식이섬유질을 공통적으로 많이 함유한 해조류는 각각 불등풀가사리와 모자반이었다. 총 식이섬유질에 대한 가용성 식이섬유질의 함유 비율은 녹조류 중에서는 참홑파래 $(43.7-64.8\%$ 갈조류 중에서는 미역$(17.5-31.3\%$, 그리고 홍조류 중에서는 불등풀가사리 $(44.7-63.2\%$가 높은 값을 보였다. 해조 다당류의 분포상의 특징을 보면, 갈조류는 알칼리 가용성 알긴산을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9.0-15.1\%)$, 홍조류 중의 참김은 폴피란 $(5.8\%)$을, 그리고 불등풀가사리와 얼룩도박은 한천 $(20.0\%)$과 카라기난 $(23.8\%)$을 각각 많이 함유하는 차이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