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Breeding Ground in the Kogum-sudo,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I.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Population

거금수도내 양식어장의 해양환경특성 I.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 Yoon Yang Ho (Department of Oceanography,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 Koh Nam Pyo (Department of Aquaculture,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윤양호 (여수수산대학교 해양학과) ;
  • 고남표 (여수수산대학교 양식학과)
  • Published : 1995.02.01

Abstract

Field studies on the seasonal succesion of phytoplankton population were carried out at the 25 stations of the breeding ground in Kogum-sudo, South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in Feburuary, April, August and October, 1993. Sixty four species belonging to 40 genera were identified. Predominant species were mainly centric diatoms throughout the four seasons, two centric diatoms, Skeletonema costatum and Thalassiosira sp. and a pennate diatom, Thaiassionema nitzschioides in the winter; two pennate diatoms, Thaiassionema nitzschioides and Asterionella kariana, and especially a dinoflagellate, Heterocapsa triquetra (station 10) in the spring, two centric diatoms, S. costatum and Chaetoceros diadema in the summer; and a centric diatom, Rhizosolenia alata and a pennate diatom, Bacillaria paxillifer in the fall. The main red tide organisms in the breeding ground were dinoflagellates, Prorocentrum dentatum, P. minimum, P. triestinum, Ceratium furro, Gymnodinium sanguineum, Noctiluca scintillans, H. triquetra, Scrippsiella trichoidea and a diatom S. costatum in the Kogum Sudo. Seasonal phytoplankton cell numbers were in a wide range between $8.8\times10^3$ cells/l and 1.4\times10^6$ cells/l; The seasonal average cell numbers were $12.2\times10^4\pm5.9\times10^4$ cells/l $(mean\;\pm\;standard\; diviation)$ in the winter, $3.3\times10^4\pm1.4\times10^4$ cells/l in the spring, $48.4X10^4\pm40.0\pm10^4$ cells/l in the summer, and $3.6\times10^4\pm1.9\times10^4$ cells/l in the fall, respectively.

거금수도의 양식어장환경 특성 중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화 특성을 억제하기 위한 현장조사를 1993년 2월, 4월, 8월 및 10월 사계절에 거쳐 25개 관측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거금수도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조성은 총 40속 65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히 중심목 규조류의 출현이 16속 32종으로 전체 출현종의 약$50\%$를 차지하고 있었다. 종의 다양성은 고수온기에 높고, 저수온기에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우점종의 계절변화는 겨울에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sp. 및 Thalassionema nitzschioides에 의해, 봄에는 Th. nitzschioides와 Asterionella kariana가, 여름에는 S. costatum과 Chaetoceros diadema에 의해, 가을에는 Rhizosolenia alata와 Bacillaria paxillifer 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여, 연중 규조류에 의한 우점현상이 보여지고 있으며, 계절에 따른 우점좀의 천이도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본 해역에 출현하는 적조생물은 주로 여름철에 보여지고 있으나, 출현량으로서는 아직 적조발생이 이루는 밀도의 수준은 아니나, 가두리 양식장 설치 등 인위적 오염부하량의 변동에 의해서 발생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현존량의 변화는 시간적으로는 년간 $8.8\times10^3$ cells/l 범위로 변화하고 있으며 공간적인 변화는 겨울인 2월이 $12.2\times10^4\pm5.9\times10^4$ cells/l, 봄이 $3.3\times10^4\pm1.4\times10^4$ cells/l, 여름이 $48.4\times10^4\pm40.0\times10^4$ cells/l 및 가을이 $3.6\times10^4\pm1.9\times10^4$ cells/l로 변동하여 겨울과 여름이 봄과 가을에 비해 한 단위 더 높은 변화 양상을 나타내어, 지금까지의 온대해역에서는 봄에 높은 현존량을 나타낸다는 내용과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해역의 낮은 수심과 큰 조석차에 의한 해수의 조석혼합 등에 의해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쉽게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