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logical Structures of the Yeoryang-Imgye area, northern part of Mt.Taebaeg Region, Korea

태백산지역 북부, 여량-임계지역의 지질구조

Kim, Jeong-Hwan;Kee, Weon-Seo;Seo, Sang-Ki
김정환;기원서;서상기

  • Published : 19960200

Abstract

Yeoryang-Imgye area in the northern part of the Mt.Taebaeg Region comprises Precambrian metasedimentary rocks and granitoids. Paleozoic sedimentary rocks, and amphibolites. A mylonite zone occurrs along the contact boundary between Precambrian granitoids and Cambrian sedimentary rocks. Granitoids occur as a dome in this area Amphibolite intrud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Cambrian sequences and mylonite zone. The rocks in the area have been affected by a series of deformations from the Cambrian to early Tertiary period. The first deformational event occurred during the Cambrian period, which produced the mylonite zone along the contact between the Precambrian granitoids and lower part of Cambrian sequences. The second event occurred prior to the sedimentation of the Bansong Group and produced thrusts and folds. Late stage of the event was characterized by the extensional deformation with a series of domino faults. The third event is the Daebo Orogeny which involves thrust and fold. Pre-existing folds were more tightened and pre-existed fractures were reactivated as faults during this event. The last event is the Bulgugsa Orogeny of the late Cretaceous to early Tertiary age. The mylonite zone was reactivated as a ductile thrust and Paleozoic rocks and mylonite zone are folded with east-west trending axial traces.

태백산지역 북부, 강원도 여량-임계지역일대에는 선캠브리아 누대의 편암류와 화강암류를 기반암으로 하여 고생대 지층들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 태백산지역 북부에 넓게 분포하는 화강암류들은 연구지역내에서 캠브리아기의 장산규암층 하부에 놓이며, 그 접촉 경계선에 따라서 압쇄대가 발달하고 있으며, 그 폭은 임계에서 여량읍으로 향하면서 좁아지고 있다. 연구지역내에 분포하는 암층들은 고생대 초 부터 제 3기 초에 이르는 동안에 계속해서 조구조운동을 받아왔다. 캠브리아기에 첫번째 변형작용에 의해 캠브리아-선캠브리아 지층들의 경계에 따라서 압쇄대가 형성되었으며, 두번째 변형작용은 트라이아스기 중기. 반송층군의 퇴적이전의 송림 조산운동중에 드러스트 운동과 습곡작용이 있었으며, 후기의 정단층 운동에 의하여 반송층군의 퇴적분지가 형성되었다. 세번째 변형작용은 반송층군이 퇴적한 후에 일어난 대보 조산운동으로 연구지역내의 지층들은 드러스트 단층과 습곡작용의 영향을 받았다. 마지막 변형작용은 백악기 말-제 3기 초의 불국사 조산운동의 영향으로 압쇄대는 연성 드러스트 단층으로 재활성하였으며, 고생대 하부 지층들도 드러스트 단층의 영항을 받았으며, 고생대 지층들과 압쇄대는 동-서 방향의 습곡작용을 받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지질학회지 v.13 Landsat-1 영상에 의한 태백산지역 지질구조와 암석분포 상태에 관한 연구 강필종;김의홍;임정웅
  2. 지질학회지 v.28 순창전단대에 발달된 전단지시자에 대한 고찰 기원서;김정환
  3. 정선 향사 양 익부의 특징;탄전지질조사보고 7 김성수
  4. 광산지질 v.6 남한 대석회암통의 층서와 지질구조 김옥준;이하영;이대성;윤석규
  5. 광산지질 v.17 삼척지역에 분포하는 우백질화강암류의 Rb/Sr 연령에 관한 연구 김용준;주승환;조등룡
  6. 지질학회지 v.17 단양탄전의 지질 김정소
  7. 광산지질 v.24 강원도 임계지역의 지질구조 김정환;기원서
  8. 지질학회지 v.27 화순탄전에 발달된 순창전단대의 구조적 특성 김정환;기원서
  9. 광산지질 v.24 삼척탄전 태백-하장지역의 지질구조 김정환;김영석
  10. 지질학회지 v.23 삼척탄전 황지 일대의 지질구조 김정환;원종호
  11. 지질학회지 v.27 강원도 예미지역의 지질구조 김정환;이종대
  12. 광산지질 v.24 강원도 영월-예미 지역의 지질구조 김정환;고희재;이종대
  13. 지질학회지 v.30 단양탄전지역에서의 선쥬라기 드러스트 운동 김정환;이제용;남길현
  14. 지질학회지 v.17 정선탄전 중부의 지질 김지순
  15. 정선탄전 구절지역의 층서 및 지질구조 박석환
  16. 광산지질 v.21 태백산지역내 광상의 생성년령 박희인;장호완;진명식
  17. 광산지질 v.14 임계지역에 분포하는 각석암질암의 성인 소칠섭;김연기;지세정;박맹언
  18. 광산지질 v.10 평창-정선일대의 지질구조 규명 손치무;정지곤
  19. 정선탄전 정밀지질조사보고서(단행본) 이돈영;유양수
  20. 탄전지질 v.4 단양탄전 (남부지역) 조사보고서 이무령;이종헌;최현계
  21. 지질학회지 v.28 화순탄전 북부지역에서 우수향 연성 주향이동 운동에 관련된 변형작용 이병주
  22. 지질학회지 v.26 한반도 남서부 영광부근 연성전단대의 변형특성 연구 이병주;김동학;전경석
  23. 지질학회지 v.20 소위 율리층군 및 원남층군의 변성암석학적 연구 이상만;김형식
  24. 공주분지의 조구조운동 연구 이제용
  25. 지질학회지 v.17 정선탄전 남평지역의 지질구조 임순복
  26. 광산지질 v.26 한국 북동부지역 원생대의 화성활동과 변성작용: 임계각석암의 암석 성인과 조구조적 특징 장호완;이동화
  27. 광산지질 v.23 예천 전단대의 생성과 화강암 관입의 상대적인 시기 장태우
  28. 지질학회지 v.27 분쇄질암의 미구조에 관하여 - 예천 전단대를 중심으로 - 장태우
  29. 지질학회지 v.25 전주 부근 화강암의 연성변형작용에 관하여 장태우;한영민
  30. 광산지질 v.24 영광부근 연성전단대(전주전단대)의 성질과 교차 양상에 관하여 전경석;장태우;이병주
  31. 학술원 논문집 삼척탄전 동부의 지질구조 정창희
  32. 지질학회지 v.6 강원탄광 장성층에서 발견된 식물화석 수종 정창희;이하영
  33. 지질학회지 v.21 강원도 임계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 및 각섬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조등룡;이대성
  34. 자연대 논문집 v.8 옥갑산층 사암(강원도 구절리 지역)의 퇴적환경 조성권;김승찬
  35. Rb/Sr 및 안정동위원소 연구(삼척 및 제천지역 편마암류에 관한 Rb-Sr 연령 측정연구);동위원소지질연구(KR-88-6D) 주승환
  36. Rb-Sr 법에 의한 영남육괴 연대측정연구 (I);연구보고(85-24) 주승환;김성재
  37. 조사연구보고 v.11 옥천지향사대 종합연구 (I) (옥천 Belt 동북부를 중심으로 하여) 최위찬;김동학
  38. 태백산지구 지질도 태백산지구지하자원조사단
  39. J. Struct. Geol. v.1 Orthogneiss, Mylonite and non-coaxial deformation of granites : the example of the South American Shear Zone Berthe, D.;Choukroune, P.;Jegoujo, P.
  40. Earth Planet. Sci. Lett. v.108 Late Paleozoic to early Mesozoic geodynamic evolution of the circum - Pacific Orogenic Belt in South Korea and Southwest Japan Cluzel, D.
  41. J. SE Asian Earth Sci. v.7 Formation and tectonic evolution of early Mesozoic intramontane basins in the Ogcheon Belt(South Korea): a reappraisal of the Jurassic Daebo Orogeny Cluzel, D.
  42. J. Geol. Soc. Japan v.50 Geology of Seizen District Hisakoshi, S.
  43. J. Geol. Soc. Korea v.22 Crustal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in the eastern part of the Mt. Taebaeg Area - Part I: Stratigraphy, paleontology and the geologic structures in the eastern part of the Samcheog Coalfield Kim, B.K.;Cheong, C.H.;Paik, K.H.;Kim, J.H.;Kim, J.Y.
  44. J. SE Asian Earth Sci. v.9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onchang Shear Zone, Korea Kim, J.H.;Kee, W.S.
  45. J. Korean Inst. Mining Geol. v.25 Structural analysis of the Danyang area, Danyang Coalfield, Korea Kim, J.H.;Koh, H.J.
  46. J. Korean Inst. Mining Geol. v.25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Yeongchun area, Danyang Coalfield, Korea Kim, J.H.;Lee, J.Y.;Nam, K.H.
  47. J. Geol. Soc. Korea v.28 Paleostress analysis within the thrust zone, Yeongchun, Danyang Coalfield, Korea Kim, J.H.;Lee, J.Y.;Nam, K.H.;Choi, B.Y.
  48. J. Struct. Geol. v.6 S-C mylonites Lister, G.S.;Snoke, A.W.
  49. Geology of Korea Reedman, A.J.;Um, 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