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Pb Age of Marble from Muju, Korea

무주지역 대리암의 Pb-Pb 연대

  • Published : 1996.06.01

Abstract

Pb isotope composition is analyzed from the rock chips of marbles intercalated between gneisses of Muju area and it shows very large variation ($^{206}Pb/^{204}Pb$=23.74~4142, $^{207}Pb/^{204}Pb$=16.32~18.43, $^{208}Pb/^{204}Pb$=36.42~39.75). The data points form well defined positive relationship on $^{206}Pb/^{204}Pb$ vs $^{207}Pb/^{204}Pb$ plot, which corresponds to $1.99{\pm}0.10$($2{\sigma}$) Ga. This age is very similar to the formation ages of the granitic gneisses from Buncheon and Cheondongri (Tanyang), and suggests that the fairly large volume of Sobaeksan Massif suffered regional metamorphism at this time. It is suggested that the most parts of Korean peninsula including Kyeonggi and Sobaeksan Massifs were very close each other and experienced a regional metamorphism together about 2.0 Ga ago from the fact that galenas from whole Korean Peninsula except Kyeongsang Basin and metamorphic rocks from Kyeonggi Massif also reveal a similar slope corresponding 2.0 Ga on Pb-Pb isotope plot.

무지지역에 분포하는 편마암 중에 협재된 대리암의 암편들에 대하여 Pb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매우 넓은범위에 걸친 Pb 동위원소의 변화를 확인하였다.($^{206}Pb/^{204}Pb$=23.74~4142, $^{207}Pb/^{204}Pb$=16.32~18.43, $^{208}Pb/^{204}Pb$=36.42~39.75).이 값들은 $^{206}Pb/^{204}Pb$$^{207}Pb/^{204}Pb$를 양 축으로 하는 그림 z에서 Pb-Pb 연대가 $1.99{\pm}0.10$($2{\sigma}$) Ga로 계산되는 잘 정의된 양의 직선과계를 보여준다. 이 연대는 태백지연의 분천화강암질 편마암 및 단양 천동리 지역의 화강암질 편마암과 유사한 값으로 현재 소백산육괴의 상당부분이 이 시기에 광역변성작용을 받았음을 시시한다. 경상분지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분석된 방연석의 납 동위원소 비와 경기육괴 변성암의 납 동위원소 비도 Pb-Pb 그림에서 약 20억년전에 함께 변성작용을 겪은 동일한 자판 내에서 인접한 위치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지질학회지 v.29 한 정선 석회암의 U-Pb 연대 권성택;박계헌
  2. 암석학회지 v.4 단양 천동리 지역 옥천대/영남육괴의 접촉관계와 소위 화강암질 편마암의 Pb-Pb 연대 권성택;이진한;박계헌;전은영
  3. 암석학회지 v.2 선캠브리아 경기육괴중 대리암의 연대측정에 대한 예비 연구 박계헌;정창식
  4. 지질학회지 v.29 태백산지역의 고기화강암 및 화강편마암류에 대한 납 동위원소 연구 박계헌;정창식;이광식;장호완
  5. 지질 및 해양시료의 미량조성 및 구조분석법연구, 제1차년도 연구보고서 박계헌(외)
  6. 지질학회지 v.25 소백산육괴 중앙부 선캠브리아 변성암류의 암석학적 연구 송용선;이상만
  7. 광산지질 v.19 함백분지 기반지역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 화강암질암류의 암석화학적 연구 윤현수;이대성
  8. 한국지질도 1:50,000 장기리도폭 이대성;남기상
  9. 지질학회지 v.16 지리산(하동-산청) 지역의 변성니질암의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이상만
  10. 암석학회지 v.4 연천-전곡 지역에 분포하는 임진강대의 고압 각섬암 조문섭;권성택;이진한;Nakamura, E.
  11. 연구보고서 KR-86-7, 한국동력자원연구소 Rb/Sr 법에 의한 영남육괴 연대측정 연구(Ⅱ) 주승환;김성재
  12. Jour. Southeast Asian Earth Sci. v.7 Ordovician bimodal magmatism in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Intracontinental rift-related volcanic activity Cluzel, D.
  13. Grant Report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Culture, Japan, No. 58540375-59549377 The lead isotope systematics in Asia and near East Mabuchi, H.
  14. Nature v.326 First radiometric dating of Archaean stromatolitic limestone Moorbath, S.;Taylor, P. N.;Orpen, J. L.;Treloar, P.;Wilson, J.
  15. Jour. Geol. Soc. Korea v.9 preliminary age study of the gyeonggi metamorphic belt by the Rb-Sr whole rock method Na, K. C.;Lee, D. J.
  16. Mining Geology v.37 Isotope systematics of ore leads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Islands Sasaki, A.
  17. Chem. Geol., (Isotope Geosci. Sec.) v.86 Dating the metamorphism of Precambrian marbles: Examples from Proterozoic mobile belts in Greenland Taylor, P. N.;Karlsbeek, F.
  18. Tectonics v.12 An indentation model for the North and Sout China collis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tan-Lu and Honam fault systems, eastern Asia Yin, A.;Nie, S.
  19. Earth Planet. Sci. Lett. v.5 Least squares fitting of a straight line wiht oorrelated errors York,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