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el Horizontal Migration of Planktonic Copepods in the Surf Zone of Yongil Bay, Korea

영일만 쇄파대에 나타나는 부유성 요각류의 주야 수평이동

  • Suh Hae-Lip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Yu Ok-Hwa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6.07.01

Abstract

The patterns of diel horizontal migration (DHM) of 7 copepod species are compared as part of a general investigation of the zooplankton adaptations to the surf zone habitats. In a sandy shore surf zone of Yongil Bay, 3 sites such as the bottom and surface of 1 m water depth and water's edge are sampled with a sledge net(n=108). The surf zone copepod assemblage is dominated by 7 species; Acartia hudsonica, Fseudodiaptomus marinus, Paracalanus indicus, Calanus sinicus, Oithona similis, Sinocalanus tenellus and Labidocera bipinnata. Threefold variations in copepod abundance are observed within a diel cycle. Abundances of 7 dominant species and total copepods captured in the surface exhibit significant diel differences, but those taken in the bottom a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l period. It is shown that about $90\%$ of the surf zone copepods performed DHM. The nocturnal high densities of copepods occurred for a neap tide when the offshore winds prevailed, suggesting the animals' ability for horizontal orientation and an active locomotion without invoking passive transportation by currents. Photoreactive behavior of copepods triggered by relative changes in light intensity may be a primary factor inducing DHM by aggregating in the surf zone during the night and spreading out at day; then copepods may reduce encounters with visual predators. In A. hudsonica, ontogenetic variations in timings of DHM are evident. Such variations are likely to minimize intraspecific competition for diets. Data on shoreward migration of copepods indicate that A. hudsonica, P. indicus, O. similis and S. tenellus can maintain swimming velocities of about $20m\;h^{-1}$ for durations of more than an hour. Our observations of strong diel difference in abundances point out the need for both day and night samplings in surf zone habitats, if the importance of these habitats to planktonic copepods are to be fully understood.

동물플랑크톤이 쇄파대에서 어떻게 적응하여 살아가고 있는가를 연구하면서, 부유성 요각류 일곱 종의 주야 수평이동 양상을 조사하여 비교했다. 동해 영일만 쇄파대에서 수심 1m 되는 곳의 표층과 저층과 해변가 세 곳을 썰매형 네트로 채집했다(총시료수=108개). 쇄파대 요각류 집단은 일곱 종 (Acartia hudsonica, Fseudodiaptomus marinu, Paracalanus indicus, Calanus sinicus, Oithena similis, Sinocalanus tenellus, Labidocera bipinnata)이 우점했다. 쇄파대 요각류의 주${\cdot}$야간 생물량 차는 약 세 배였다. 표층에서 채집한 전체 요각류와 우점하는 일곱 종의 생물량은 주간보다 야간에 모두 유의하게 많았다. 하지만, 저층에서 주${\cdot}$야간 생물량의 차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쇄파대 요각류의 약 $90\%$가 주야 수평이동하는 것을 밝혔다. 조금때 바람이 육지에서 바다쪽으로 불었지만, 표층에서 야간에 요각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요각류가 해류에 따라 수동적으로 운반되지 않더라도 능동적으로 수평 방향을 유지하여 헤엄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인 듯하다. 요각류는 상대 조도의 변화에 따라 광반응 행동을 하고, 그래서 야간에 쇄파대에 모였다가 주간에 흩어지게 하는 주야 수평이동이 나타난 것 같다. 주야 수평이동은 요각류가 시각 포식자와 마주칠 기회를 줄일 것이다. A. hudsonica가 개체발생 단계별로 이동시각을 달리한 것은 발생단계에 따라 광반응 행동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인 듯하다. 결과적으로 이것이 먹이를 둘러싼 종내 경쟁을 줄일 것 같다. 요각류 이동 자료에서 A. hudsonica, P. indicus, O. similis, S. tenellus 네종은 한 시간 이상 유영속도를 $20m\;h^{-1}$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쇄파대에서 요각류가 차지하는 중요도를 바로 알려면, 주야 생물량이 매우 다르므로 주간과 야간 채집을 함께 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