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Library Policies and Systems of South and North Korea for the National Unification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도서관 정책과 제도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96.03.01

Abstract

The world has moved from the Cold War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moved toward the age without idealogy. It places emphasis on economic benefit and welfare of its own nation as its main point With this world trend, in order to sam the competitiveness and the reconciliation of the divided nation the north and the south Korea should be united. Once the north and the south are united, information society will be altered with the huge flow of the civilization. At the same time, the issue of how to operate library policies and system, in which effective acquisition, manipulation, accumulation,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un would be very importan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in this study. Firstly, when building a national library preparing for the national unification.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1) the concept of policy and system for information society and 2) that of policy and system which has national-culture as its focus. Secondly, it is essential to prepare the cooperative-structure between libraries prior to the national unification. This kind of cooperation should gradually expand to an extent that allows actual benefits such as building union catalog, inter-library loan system, resource sharing, standardized cataloging rules, and exchange of dissertation... etc. Thirdly, developing the library policies and systems for the national unification must be based on the concept of the mutual cooperation as inter-dependent model rather than on the concept of the incorporation-absorption as a dominant model. The next point the principles of the followings in preparing the library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1) free-competition, 2) revolution of consciousness through the social education, 3) independence and love for humanity, 4) scientific or reasonable thinking, 5) job responsibility, 6) democratic citizenship, 7) mind far collective life, 8) spirit of public interest 9) globalization In addition, the model of the library systems preparing for thenational unification should include the followings : 1) uniformity of library system and its authority, 2) establishment of research institutes for library policy and system, 3) exchange of library establishment and information resources, 4) building library networks, 5) establishment of education systems for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enhancement of its quality, 6) modernizing and develop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its transfer. Finally, the libraries in the north and the south has different concepts, goals,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 different ways of using them. Considering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libraries and the reasons for their existence, they must structure the mutual cooperative system so as to minimize the shock when confronting the social changes, so-called the national unification.

동서간의 냉전을 종식하고 탈 이데올로기 시대에 돌입한 세계정세는 체제와 이념을 극복하고 자국의 경제적 이익과 국민의 복지를 중심으로 하여 자국 우위의 경제 중심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세계 정세 속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분단된 민족의 화합을 위하여 남북한이 통일되어야 할 것이다. 남북한이 통일되면 문명의 큰 흐름이 정보사회로 변전하는 이때에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 가공, 축적 제공하는 제도적 장치인 도서관 정책과 제도를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 하는 과제는 국가의 중대사이다. 그런 관점에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통일을 대비하여 민족도서관을 건설하는데 있어서 1) 정보사회형 정책과 제도 개렴 2)민족문화중심의 정책과 제도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통일에 앞서 우선적으로 남북한 도서관간의 협력구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협력은 종합목록의 작성, 자료의 상호대차, 자료의 공동활용을 위한 표준화된 목록규칙의 작성, 학위논문의 교환 등과 같은 실질적 이익을 가져다 주는 부분에서부터 시작해서 점차 자원을 필요로 하는 영 역으로 확산되어 야 한다. 셋째, 통일을 대비한 도서관 정책과 제도를 개발하는 일은 지배 모델로서의 통합흡수형이 아닌 상호의존 모델로서의 병존협력의 개념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통일을 대비한 도서관 정책원리에는 1) 자유경쟁의 논리 2) 사회교육을 통한 의식의 개혁 3) 자주의식과 인류애 4) 과학적 내지는 합리적 사고 5)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6) 민주시민정신 7) 공동체의식 8) 공익정신 9) 세계정신을 포함시킬 것이 요구된다. 다섯째, 통일을 대비한 도서관 제도모형은 남북한의 도서관이 1) 도서관의 위상통일 2) 도서관 정책 및 제도 전문연구기관의 설립 3) 전문인력의 교류 4) 정보자료의 교류 5) 학술정보망의 구축 6) 문헌정보학 교육체계의 확립과 수준향상 7) 현대화 및 정보기술 개발과 이양 등을 내용으로 갖추고 그 구체적인 사안들을 공동 개발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남북한의 도서관은 그 개념, 운영목적, 자원의 내용 및 이용방법 등이 모두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도서관의 존재이유와 그 실용성의 측면들을 고려할 때, 남북한의 도서관은 통일이라고 하는 사회적 변화에 직면하여 그 충격이 최소한의 것이 되도록 상호 공조체제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