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ELF-IMAGE AND SOCIAL SENSITIVITY IN ADOLESCENTS :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SELF-IMAGE,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ENSITIVITY

청소년의 자아상과 사회적 민감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자아상-우울-불안-사회적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 Shin, Min-Sup (Division of Child-Adolesc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oh, Jun-Hyu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Hyosung-Catholic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ong, Kang-E (Division of Child-Adolesc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신민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소아정신분과)) ;
  • 소준현 (효성카톨릭 의과대학 신경정신과) ;
  • 홍강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소아정신분과))
  • Published : 1996.06.29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among self-image,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ensitivity in adolescents. 1602 normal adolescents(697 males and 905 females) responded to self report scales-Offer Self-Image Questionnaire-Revised, 3 subscales of Symptom Checklist-90-Revi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NOVA and LISREL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image on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ensitivity, and to test the relationship among the above 4 variables. Adolescents with low self-imag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scales of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ensitivity than did adolescents with high self-image. The result of LISREL showed that the low self-image leads to the emotional state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ose of depression and anxiety lead to the increase of social sensitivity, suggesting that self-image has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has a direct effect on social sensitivity in adolescent.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dolescent social phobia.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상과 우울, 불안, 그리고 사회적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자아상이 부정적인 청소년들이 자아상이 긍정적인 청소년보다 더 우울하고 불안하며 대인 관계나 사회적 상황에서 더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두번째로는 낮은 자아상이 사회적 민감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 아니면 낮은 자아상을 가진 청소년들이 우울이나 불안감을 더욱 느끼게 되고, 그 결과 사회적 민감성이 증가되는지 그 인과적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 여 학생 총 1,602명 (남자 697명, 여자 905명)에게 Offer의 자아상 척도와 간이 정신진단 검사의 하위 척도중 우울, 불안, 사회적 민감성 척도를 실시한 후, 자아상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아상이 낮은 집단이 자아상이 높은 진단에 비해 우울.불안, 사회적 민감성 척도점수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상과 우울, 불안, 사회적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LISREL로 분석한 결과, 자아상이 사회적 민감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기 보다는, 자아상이 낮은 청소년들은 자기 자신에 대해 우울이나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그로 인해 사회적 민감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사회적 불안과 대인 공포를 발전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긍정적 자아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주었고. 사회 공포증 청소년 환자에 대한 치료및 예방에 있어 임상적 시사점을 가지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