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Meju Model System Inoculated with 4 Bacillus Strains

Baciilus속 세균 4종을 이용한 콩알메주 Model System의 발효특성

  • Published : 1997.10.01

Abstract

Whole soybean meju was fermented with four Bacillus strains for 45 hr in its model system. The pH range of the product was $7.98{\sim}8.68$, the contents of amino nitrogen and ammoniacal nitrogen were $286{\sim}439\;mg%,\;0.11{\sim}0.23%$, respectively and that of reducing sugar ranged $0.65{\sim}2.24%$. During fermentation, the enzyme activities increased up to $30{\sim}40\;hr$ of fermentation and slightly decreased after 45 hr. Stachyose was special sugar components for B. licheniformis and raffinose was for B. natto. The components of the organic acid showed distinctive patterns among four products and the patterns of amino acids and fatty acids were almost similar to those of other reports. The main and common odor concentrates of meju were pyrazine components, 3-methyl-1-butanol, acetic acid and ethanol. Chunggukjang, mixed with B. natto and B. licheniformis showed more acceptabilities than other combinations. Soybean paste, mixed with B. megaterium and B. subtilis, soysauce, mixed with B. megaterium and A. oryzae showed excellent acceptability, respectively.

콩알메주 model system에 4종의 Bacillus 균주를 접종하여 45시간 발효시킨 후 메주의 일반성분, 효소활성, 향기성분 등을 분석하고 제조된 메주로 청국장, 된장, 간장을 제조하여 제품의 관능을 평가하였다. 발효메주의 pH는 $7.98{\sim}8.68$ 이었으며 아미노태질소는 $286{\sim}439$ mg%, 암모니아태질소는 $0.11{\sim}0.23%$, 환원당은 $0.65{\sim}2.24%$ 그리고 유리지방산은 $0.33{\sim}1.10%$의 수준이었다. 단백질과 당의 분해율은 B. subtilis구간에서 높았으며 암모니아태질소와 유리지방산의 생성율은 B. natto 구간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효소활성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발효 40시간대부터 정체되는 양상이었으며 B. subtilis구간의 효소활성이 높았다. 각 실험구간별로 유리당 5종, 지방산 5종, 유기산 6종을 검출하였으며 당에서는 stachyose와 raffinose 함량이 많았고 유기산은 각 균주별로 특징적인 구성비를 보였으며 아미노산과 지방산은 보고된 실험결과들과 유사하였다. 향기성분은 총 81종이 검출되었으며 pyrazine류와 3-methyl-1-butanol, benzaldehyde등이 Bacillus 메주의 공통적인 향기성분으로 분석되었다. 각 메주를 혼합하여 제조한 장류제품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청국장은 B. natto와 B. licheniformis를 혼합한 구간이, 된장에서는 B. megaterium과 B. subtilis의 혼합구간이, 간장에서는 B. megaterium과 A. oryzae의 혼합구간이 양호한 평가를 받아 각 제품별로 적정한 균주를 사용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