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y of the Macrozoobenthos in Chinhae Bay, Korea 3. Community Structure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3. 군집구조

  • LIM Hyun-Sig (Department of Marine Resourc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 HONG Jae-Sa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Inha University)
  • Published : 1997.03.01

Abstract

Benthic community structure was studied in Chinhae Bay during 3 years from June 1987 to May 1990, based on the samples from 12 stations on the seasonal, bimonthly or monthly basis (lim and Hong, 1994a, b). A total of 287 species was sampled with mean density of $1045.5\;ind./m^2$ and biomass of $98.48g/m^2$ during studyperiods. Of these species, there were 91 species of crustaceans $(31.7\%)$, 88 of polychaetes $(30.7\%)$, 56 of molluscs $(19.5\%)$, 22 of echinoderms and 30 of the micellaneous species. Polychaetes were density-dominant faunal group with a density of $824.7\;ind./m^2$, comprising of $18.6\%$ of the total density of the benthic animals. It was followed by molluscs with $14.62\;ind./m^2$ $($14.4\%\;of\;the\;total\;density)$ crustaceans with $50.5\;ind/m^2\;(4.6\%)$ and echinoderms with $13.4\;ind/m^2\;(4.6\%)$. Molluscs were the biomass-dominant faunal group with a mean biomass of $54.62\;g/m^2$. It was followed by polychaetes with $21.74\;g/m^2$ and echinoderms with $6.66\;g/m^2$. Based on community analysis, species richness, diversity and evenness showed decreasing trends toward the inner bay from outer stations, whereas dominance showed increasing. The three most dominant species Lumbrineris longifolia, Paraprionospio pinnata and Theora fragilis had densities over $40\%$ of the total density of benthic organisms in Chinhae Bay. Seasonal changes of benthic communities in the inner bay were high compared to those of the outer bay. It was mainly due to the occurrence of hypoxic condition in the inner area of the bay.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benthic community could be divided into four stational groups, that is, Group 1, the innermost area, which received the most heavy anthropogenic effects including seawage and waste water, Group II, the central area of the bay, Group III, the transitional area, Group IV, the mouth pan of the bay exposed to the open sea. The areal groups based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coincided with the zonal groups from the species composition. This fact suggests that the overall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Chinhae Bay was controlled by the sediment organic carbon content of the bay.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에 대해 Lim and Hong(1994a, b)에 근거하여, 이들의 종조성, 밀도, 생물량 및 생태학적제지수 (다양도, 균등도, 우점도, 종풍부도)를 분석하고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전 조사기간 동안 총 287종이 채집되었으며, 밀도는 1045.5 개체/$m^2$, 생물량은 $98.48g/m^2$였다. 갑각류가 91종으로서 전체 출현종의 $31.7\%$를 차지하였으며, 다모류가 88종 $(30.7\%)$, 연체동물이 56종 $(19.5\%)$으로서 이들 3개 분류군이 전체 출현종의 $81.9\%$를 차지하였다. 한편 극피동물이 22종, 자포동물과 기타 동물군은 30종 출현하였다. 밀도는 다모류가 가장 우점하여 824.7 개체/$m^2\;(78.6\%)$ , 연체동물은 146.2 개체/$m^2(14.4\%)$, 갑각류는 50.5 개체/$m^2(4.6\%)$였다. 또한 극피동물은 13.4 개체/$m^2$, 기타 동물군은 10.7 개체/$m^2$가 출현하였다. 생물량은 연체동물이 $54.62g/m^2$로서 가장 우점하였으며, 다모류는 $21.74g/m^2$, 극피동물은 $6.66g/m^2$였다. 본 조사 해역은 유기 오염도가 낮은 외해역 정점에서 오염도가 높은 내만 정점역으로 들어가면서, 종 풍부도, 다양도 및 균등도 등의 생태학적 제지수가 감소하고, 우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이 뚜렸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인 Lumbrineris longifolia와 Paraprionospio pinnata, 소형 이매패류인 Theora fragilis로서 이들의 서식밀도가 전체 밀도의 약 $40\%$를 차지하였다. 또한 내만역의 정점들에서는 빈산소 수괴의 출현으로 저서동물 군집의 계절 변동이 큰 반면, 상대적으로 외해역은 계절적으로 그다지 큰 변동을 보이지는 않았다. 출현종에 근거한 집괴분석의 결과 진해만은 4개의 정점군과 6개의 생물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 즉, 내만역에 위치하여 도시하수나 산업폐수 등의 인위적인 영향을 받기 쉬운 정점군- I (G-I), 진해만 중앙부에 위치한 해역인 정점군-II (G-II), 외해역에 위치한 정점군-IV (G-IV) 및 이들 3개 정점군의 중간에 위치한 정점군-III (G-III)으로 나누어졌다. 출현종에 기초한 정점군은 환경요인의 주성분 분석을 통하여 구분한 정점군고 대체로 잘 일치하였다. 또한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의 전반적인 계절별 공간분포는 다양도 분석 결과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퇴적물 내의 유기물 함량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