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OR REACTION TO MOLAR UPRIGHTING SPRING

대구치 직립 스프링 적용시 반작용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 Choe, Yoo-Kyung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tiy) ;
  • Kim, Tae-Woo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tiy) ;
  • Suhr, Cheong-Hoon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tiy)
  • 최유경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김태우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서정훈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Published : 1998.0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distribution and tooth displacement at the initial phase produced by 5 types of molar uprighting springs using finite element method. The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lower dentition, bone and springs was composed of 5083 elements and 2071 nod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ase of helical spring and root spring, intrusion of lower canine and first premolar were observed md distal tipping, translation and extrusion of lower second molar were observed. 2. In case of T-loop, modified T-loop and box loop, intrusion and distal translation of lower second premolar were observed, and the largest crown distal tipping and translation of lower second molar were observed in T-loop and the smallest were observed in box loop. 3. In case of T-loop with cinch-bact crown distal tipping and translation of lower second molar were decreased, but extrusion was also decreased. 4. With increase of activation in T-loop, mesial translation and won distal tipping of lower second molar were increased and edentulous space was closing, but distal translation of second premolar was also increased. 5. With increase of tip-back bend in T--loop, distal tipping and translation of lower second molar were increased, but extrusion was also increased more largely.

하악 제1대구치가 상실되고 하악 제2대구치가 근심으로 경사된 경우 이를 직립 시키기 위하여 직립 스프링을 사용하였을 때 초기에 나타나는 응력 분포와 치아의 변위 양상을 살펴보고 여러 조건하에서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치아 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하악 치아, 치근막과 치조골의 형태와 물리적 특성을 컴퓨터로 재현시키고 브라켓을 모형화하여 치아에 부착한 후 helical spring, root spring, T-loop, modified T-loop, box loop등 5가지 형태의 스프링을 beam 요소로 모형화하여 적용시켜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다. 스프링의 형태, cinch-back 여부, activation 양, tip-backbend의 크기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하여 여러 조건하에서 탄선 적용시 나타나는 힘과 모멘트, 치아이동 변위를 개개치아의 FA point에서 계측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elical spring과 root spring 적용시 하악 견치와 제1소구치의 압하가 일어났고, 하악 제2대구치의 원심이동과 정출, 원심회전이 일어났다. 2. T-loop, modified T-loop, box loop 적용시 하악 제2소구치의 압하와 원심이동이 일어났고, 하악 제2대구치의 직립에 필요한 원심이동과 원심회전은 T-loop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box loop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다. 3. T-loop에서 cinch-back을 한 경우 하악 제2대구치 치관의 원심이동과 원심회전은 약간 감소하였으나, 치아의 정출도 동시에 감소하였다. 4. T-loop에서 activation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하악 제2대구치의 근심이동이 점차 증가하여 공간폐쇄 경향을 보였고, 치관의 원심회전 역시 점차 증가하였으나, 하악 제2소구치의 원심 이동도 약간 증가하였다. 5. T-loop에서 tip-back bend의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하악 제2대구치의 직립에 필요한 원심이동과 원심회전이 점차 증가하였으나, 치아의 정출은 더욱 급격히 증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