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g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er Mode Choice Behavior -Case of Seoul and llsan New Town-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행태의 지역간 비교연구 -서울과 일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조중래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채만 (서울특별시 교통관리실 교통연구반)
  • Published : 1998.12.01

Abstract

서울과 일산 신도시의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고, 두 도시간 수단선택형태를 분석.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1996년 서울시에서 수행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지역 출근통행 수단선택모형의 모형구조상의 차이 및 모형의 지역간 이전가능성을 분석하였고, 출근통행의 시간가치 및 탄력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의 결과 출근통행의 수단선택에 있어서, 모형구조적 측면에서나 선택행태적 측면에서 수단선택모형의 두 도시간 이전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출근통행의 시간가치가 일산보다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서울의 경우, 택시이용자의 시간가치가 자가용 이용자의 시간가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도시 모두 통행시간에 대한 탄력성 통행비용에 대한 탄력성보다 전반적으로 크며, 버스와 지하철간의 통행시간에 대한 교차탄력성이 매유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도시교통계획-이론과 실제 임강원
  2. 서울시 교통센서스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서울시
  3. Trans. Research Record v.610 Trensferability and Updating of Disaggregate Travel Demand Models Atherton, t;M. Ben-Akiva
  4. New Horizons in Travel Behavior Research Issues in Transferring and Updating in Travel-Behavior Models Ben-Akiva, M.;P. Stopher(et al. ed.)
  5. Discrete Choice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Ben-Akiva M.;S. Lerman
  6. LIMDEP User's Manual and Reference Guide(Version 6.0) William H.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