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Mineral Water in the Daebo and Bulguksa Granites

대보화강암과 불국사화강암지역 먹는샘물의 수리화학적 특성

  • 조병욱 (한국자원연구소 지구환경연구부) ;
  • 성익환 (한국자원연구소 지구환경연구) ;
  • 추창오 (한국자원연구소 지구환경연구) ;
  • 이병대 (한국자원연구소 지구환경연구) ;
  • 김통권 (한국자원연구소 지구환경연구부)
  • Published : 1998.12.01

Abstract

Groundwater quality of the natural mineral water was investigated in hydrochemical aspects in order to ensure that mineral water meets stringent health standards. There exist 20 mineral water plants in the Daebo granite and 4 mineral water plants in the Bulguksa granite, respectively. Both granite areas show some differences in water chemistry. The pH, EC, hardness, total ionic contents in groundwater of the Daebo granite area are higher relative to those of the Bulguksa granite area. The content of major cations is in the order of Ca>Na>Mg>K, while that of major anions shows the order of $HCO_3>SO_4$>Cl>F. The fact that the $Ca-Na-HCO_3$ type is most predominant among water types may reflect that the dissolution of plagioclase that is most abundant in granitic rocks plays a most important role in groundwater chemistry. Representa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hemical species are variable depending on geology. In the Daebo granite area, $Ca-HCO_3(0.84),{\;}Mg-HCO_3(0.81),{\;}SiO_2-Cl(0.74),{\;}Na-HCO_3(0.70)$ show relatively good correlationships. In the Bulguksa granite area, fairly good correlationships are found among some components such as K-Mg(0.93), $K-HCO_3(0.92)$, Mg-Cl(0.92), $Cl-HCO_3(0.91)$, and K-F(0.90). According to saturation index, most chemical species are undersaturated with respect to major minerals, except for some silica phases. Groundwater is slightly undersaturated with respect to calcite, whereas it is still greatly undersaturated with respect to dolomite, gypsum and fluorite. Based on the phase equilibrium it is clear that groundwater is mostly in equilibrium with kaolinite and becomes undersaturated with respect to feldspars, evolved from the stability area of gibbsite during water-rock interaction. While the activity of silica increases, there is no remarkable increase in the acivities of alkali ions and pH, which indicates that some amounts of silicic acid dissolved from silica phases as well as feldspars were provided to groundwater. It is concluded that chemical evolution of groundwater in granite aquifers may continue to proceed with increasing pH.

먹는샘물은 국민의 건강과 직결될 뿐 아니라 귀중한 지하수자원이라는 점에서 엄격한 품질기준과 사후관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보화강암(20개)과 불국사화강암(4개) 지역에 분포하는 먹는샘물 업체를 대상으로 원수의 수질특성을 수리화학적인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대보화강암과 불국사화강암 지역에 분포하는 먹는샘물 업체의 원수의 수질특성은 수리화학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상이한 부분도 있다. 수소이온농도, 전기전도도, 총고용물질, 경도, 양이온과 음이온의 함량은 대보화강암 지역이 불국사화강암 지역보다 높게 나타난다. 양이온 중에서 대부분은 Ca>Na>Mg>K의 순으로 함량비를 나타내며 음이온 성분의 함량은 $HCO_3>SO_4>Cl>K$의 순을 보인다. 화강암지역에서 $Ca-Na-HCO_3$ 유형이 가장 우세하며 Ca함량이 가장 높은 현상은 화강암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사장석류의 용해작용에 기인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대보화강암 지역에서는 $Ca-HCO_3(0.84),{\;}Mg-HCO_3(0.81),{\;}SiO_2-Cl(0.74),{\;}Na-HCO_3(0.70)$ 등이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불국사화강암 지역의 경우 K-Mg(0.93), $K-HCO_3(0.92)$, Mg-Cl(0.92), $Cl-HCO_3(0.91)$, K-F(0.90) 등이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실리카 상들을 제외한다면 대부분의 지하수는 방해석의 포화도에 가장 근접한 상태를 보여 주며 돌로마이트, 석고, 형석에 대하여는 불포화정도가 다소 큼을 나타낸다. 실리카의 활동도가 증가하는 동안 K, Na같은 알칼리원소의 활동도와 pH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는데 이는 장석류로부터의 용해작용 이외에 석영과 같은 실리카상들의 용해작용에 의하여 규산이 어느 정도 공급되었음을 의미한다. 전반적으로 보아 화강암 지역의 지하수가 암석내에 가장 풍부하게 존재 하는 장석류에 대하여 아직도 불포화 상태에 있기 때문에 pH의 증가와 함께 장석류와의 반응이 계속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