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Ecology and Ingestion of Ampullarius Insularus for Weeding of Paddy Rice

왕우렁이(Ampullarius Insularus)의 攝食${\cdot}$生態 및 논잡초 防除 效果에 관한 硏究

  • Jeong, Soon-Jae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and Life Science, Dong-A University) ;
  • Park, Heung-Sik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and Life Science, Dong-A University) ;
  • Oh, Ju-Sung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and Life Science, Dong-A University) ;
  • Choi, Bong-Chool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and Life Science, Dong-A University) ;
  • Choi, Sung-kwan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and Life Science, Dong-A University)
  • 정순재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박흥식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오주성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최봉출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최성관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Published : 1999.06.01

Abstract

This experiment were performed on rice dignity during 1998 at paddy field of Dong-a Univ., Pusan, Korea. Depression effect of weed occurrence by pasture of 2kg of the Ampullarius insularus per 10a was 80.4% at the 7th day after transplanting, 69.7% at the 14th day after transplanting pasture plot and 51.8% at the 21th day after transplanting. Deperssion effect of weed occurrence by pasture of 5kg of the Ampullarius insularus per 10a was 97.9% at the 7th day after transplanting, 79.2% at the 14th day after transplanting pasture plot and 64.1% at the 21th day after transplanting. Depression effect of weed occurrence by pasture of 8kg of the Ampullarius insularus per 10a was 97.9% at the 7the day after transplanting, 87.1% at the 14th day after transplanting pasture plot and 71.4% at the 21th day after transplanting. Weeds ingestied by the Ampullarius insularus were in the order of perennial weed, annual weed.

本 試驗은 전라남도 장성에 소재하는 한마음공동체에서 왕우렁이 분양받아 1998년 3월부터 동년 10월까지 동아대학교 부속 종합농장에서 실시하였다. 왕우렁이의 방사시기, 방사량, 초종별 섭식순서 및 잡초와 수면 높이에 따른 서식량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왕우렁이의 방사시기에 따른 논잡초 발생경감효과는 이앙 후 1주일 후 방사가 98%로서 이앙 후 14일과 이앙 후 21일에 비해 제초효과가 인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왕우렁이의 방사량은 5kg/10a 및 8kg/10a처리구에서 이앙 후 1주일 방사시 모두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2kg/10a처리에서는 방사시기와 관계없이 논잡초방제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방사량은 잡초의 밀도, 우점종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왕우렁이 구입비 등을 감안할 때 5kg/10a 방사가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3. 왕우렁이 방사시 잡초의 草長과 水深의 차이에 따른 잡초 발생경감효과는 잡초가 물위로 出葉했거나 水面과 비슷한 경우보다 잡초가 물속에 완전히 잠겼을 때 100% 잡초 방제효과가 인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잡초종류별 섭식순서는 포복형이면서 거의 물속에 잠겨 있는 多年生 雜草를 먼저 섭식하고, 그 다음으로 일년생 잡초를 섭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