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Structure of the Macrobenthos in the Soft Bottom of Yongsan River Estuary, Korea 2. The Occurrence of Summer Hypoxia and Benthic Community

영산강 하구역의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 2. 여름철 빈산소 수괴의 출현과 저서동물 분포

  • LIM Hyun-Sig (Department of Marine Resourc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 PARK Kyung-Yang (Department of Marine Resourc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8.05.01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summer hypoxia in bottom water layer and benthic community structure was discussed at forty sampling stations in semi-enclosed Youngsan River estuarine bay, Korea. The oxygen deficient layer less than $2.0 mg/\ell$ was widely developed in the inner estuarine stations in summer due to the summer stratification. A total of 141 species was occurred, with a mean density of $1,923 ind./m^2$ and biomass of $79.44\;g/m^2$ in summer season. The species numb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the bottom dissolved oxygen, whereas density and biomass were partially correlated within the low oxygen level of $2.0\;mg/\ell$. These results imply that benthic community structures are affected by bottom oxygen depletion in summer.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benthic community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station groups. These station groups from the species composition coincided with the groups based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This fact suggests that the overall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os in Youngsan River estuarine bay in summer should be controlled by the summer hypoxia and clay content of the area. Group-I was located the innermost estunrine bay from Mokpo Harbour to near the dike, where summer hypoxia was developed and one bivalve Theora fragilis, two polychaetes, Tharyx sp. and Lumbrineris longifolia were dominated. Group-II, the central transitory area of the estuarine bay between two another stational groups, where two bivalves Theora fragilis, Raetellops pulchella and a polychaete Tharyx sp. predominated with relatively low density compared to that of Group-I. Group-III, the mouth part of the estunrine bay exposed to the open sea, where a polychaetes Poecilochaetus johnsoni and a bivalve Yoldia Johanni predominated.

영산강 하구역의 40개 정점에서 여름철 저층빈산소수괴의 형성과 저서동물 군집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하구역에는 1995년 8월에 광범위한 해역에 걸쳐 저층 용존산소량이 $2.0 mg/\ell$이하인 빈산소수괴가 형성되었으며. 조사해역에서 여름철에 출현한 저서동물은 총 141종으로서 1,923개체/$m^2$$19.44/m^2$ 였다. 출현종수는 저층용존산소량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밀도 및 생물량은 저층용존산소량이 $2.0 mg/\ell$ 범위까지 양의 상관관계가 뚜렷하여 저층빈산소 형성이 저서동물의 공간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정점별 출현개체수 자료를 사용하여 집괴분석한 결과 3개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는데, 이는 저층환경요인으로 구분된 정점군과 잘 일치하였다. 여름철 빈산소 수괴가 형성되는 정점군 I은 영산강 하구역에서부터 목포항까지의 해역으로서 이매패류인 Theora fragilis가 측우점하였으며, 다모류의 Tharyx sp. 및 Lumbrineris longifolia도 우점적으로 출현하였다. 정점군 II는 목포항근처에서부터 달리도 인근까지의 해역으로서 정점군 I과 정점군 III사이에 위치한 정점군이다 이 정점군에서는 이매패류인 Theora fragilis, Raetellops pulchella와 다모류인 Tharyx sp.가 우점적으로 출현하였으나 정점군 I에 비해 밀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정점군 III은 가장 외해역에 위치하고 있는 해역으로서 다모류인 Poecilochaetus johnsoni와 이매패류인 Yoldia Johanni가 우점적으로 출현하였다. 영산강 하구역의 빈산소 수괴 형성은 저서동물이 완전히 폐사할 정도로 심각하지는 않지만, 여름철의 저서동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년여름철에 주기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본 해역의 특성상 여름철 빈산소 수괴의 형성 범위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형성시기, 기간 및 범위 그리고 여기에 대한 저서동물의 반응 등에 대한 보다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