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Structure of Meiobenthos for Pollution Monitoring in Mariculture Farms in Tongyong Coastal Area, Southern Korea

통영 저도와 장두도 가두리 양식장 퇴적물에 있어서 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중형저서생물의 군집구조

  • 김동성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부) ;
  • 최진우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부) ;
  • 제종길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부)
  • Published : 1998.03.0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a fish cage on the structure of meiobenthic communities at two locations during May, 1996. The number of meiofaunal taxa at the existing cage site and control site was 15 and 26, respectively. Nematoda was the most dominant group of meiobenthos. Nematoda and Sarcomastigophora comprised more than $90\%$ of total meiofauna at both sites. The total density of control site was 7,702 inds./$10\;cm^{2}$ which is 10 times more than that of fish cage site. The density was highest in the upper 1 cm and decreased with sediment depth. The nematodes/harpacticoid copepods ratio as an index of pollution monitoring for benthic ecosystem at fish cage site was two times higher than at control site. Kinorhyncha known to be sensitive to pollution stress was not found at fish cage site.

가두리양식이 저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장두도의 해양목장화 가두리 예정해역과 저도의 기존 가두리 양식해역에 서식하는 중형저서생물군집을 조사하였다. 출현분류군은 가두리 예정지와 기존 가두리 해역에서 각각 26종류와 15종류이었고 총 개체수에서는 각각 7,702 개체/10$10\;cm^{2}$와 432 개체/$10\;cm^{2}$를 보여 기존 가두리 양식장에서 출현종류수와 서식밀도에 있어서 낮은 값을 보였다. 선형동물 (Nematoda)이 두 해역 모두에서 가장 우점하였고 다음으로 우점하는 육질편모충 (Sarco-mastigophora)과 함께 전체 출현개체수의 약 $90\%$를 차지했다. 퇴적물 깊이에 따른 현존량을 보면 표층 ($0\~1\;cm$)에 가장 높은 밀도로 서식하고 있었으며, 장두도에서는 퇴적물의 깊이에 따라 현존량이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저도의 기존 가두리지역에서는 퇴적물의 깊이에 따라 현존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저서환경 오염의 지수인 N/C 값 (nematodes/harpacticoid copepods ratio)는 기존 가두리지역인 저도에서 장두도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값을 보여 유기물 함량이 높은 저도에서 선형동물의 상대적인 비중이 높음을 보였다. 또한 유기물오염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Kinorhyncha를 이용하여 또 다른 저서환경 오염지수로 N/K 값 (nematodes/kinorhynchs ratio)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양 해역의 N/K 값은 N/C 값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