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Variations of Eelgrass (Zostera marina) and Epiphytic Algae in Eelgrass Beds in Kwangyang Bay

광양만 잘피밭에서 잘피와 착생해조류의 계절 변동

  • HUK Sung-Hoi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wAk Seok Nam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NAM Ki Wan (Department or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8.01.01

Abstract

Seasonal variations of eelgrass and epiphytic algae in eelgrass beds in Kwangyang Bay were studied from January 1994 to December 1994. A peak of the shoot length and standing crop of eelgrass occurred in summer, but low values were observed in fall and winter. The dominant species of epiphytic algae were Callophyllis rhynchocarpa and Champia sp. In spring and summer, while Polysiphonia japonica and Lomentaria hakodatensis in fall and winter. In contrast to the eelgrass, the standing crop of epiphytic algae showed a minimum in summer. There was a gradual increase in the standing crop of epiphytic algae during fall, and a peak of standing crop occurred in winter. Epiphytic algae accounted for approximately $15\~20\%$ of total plant standing crops of the eelgrass meadows. Correlation analysis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dicated that temperature influences on both the standing crop of eelgrass and epiphytic algae.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nding crop of eelgrass and temperature, while there was a reverse relationship between that of epiphytic algae and temperature.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잘피 및 착생해조류의 계절 변동을 연구하였다. 잘피의 잎 길이는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100cm 이하의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봄철에 접어들면서 잎 길이가 계속 증가하여 여름철인 6월과 7월에는 조사기간 중 최고치인 200cm에 달하였다. 그러나 가을철에는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잘피의 현존량은 가을과 겨울에 낮았으나, 봄부터 현존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여름철에는 $200g\;DW/m^2$ 정도의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잎 길이의 계절변동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잘피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착생해조류는 봄과 여름철에 Calliophyllis rhynchocarpa, Champia sp. 등이, 가을과 겨울철에 Polysiphonia japonica, Lomentaria hakodatensis 등이 다른 종들에 비하여 우점하였다. 착생해조류의 현존량은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30g\;DW/m^2$ 정도의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수온이 증가하는 3월부터 현존량이 감소하여 여름철에는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9월부터는 현존량이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착생해 조류의 현존량은 잘피밭 식물 현존량의 $15\~20\%$를 차지하고 있었다. 잘피의 현존량과 착생해조류의 현존량은 수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잘피의 현존량은 수온과정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착생해조류의 현존량은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