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itative Analysis of the Thermal Front in the Mid -eastern Coastal Area of the Yellow Sea

황해 중부 연안 수온전선역의 정량적 해석

  • Choi, Hyun-Yo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Oceanograph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Oh, Im-Sa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8.02.28

Abstract

The hydrographic data collected at three different times July, 1994, May, 1995 and June, 1996 around Taean peninsula in the mid-Yellow Sea off Korea, well known for the well-defined surface thermal fronts in summer, were analyzed. In the vertically well-mixed area where water depths varied from 15 m depth to 60 m depth,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water column was less than $1^{\circ}C$. The temperature observed in the vertically well-mixed area was reversely related with the water depths and the coldest surface water was always observed over the deep channel with the depth of more than 50m, which developed southwestward off the promontory of Taean peninsula, irrespective of the observation period. The strengths of surface thermal front observed in June were much stronger than those in July, even though the surface temperature of stratified area were nearly the same as in July. These observed features could be explained as follows: A major physical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surface thermal front is the vertical mixing of water column but the detailed thermal structure in the study area depend on the physical parameters such as the water depth in the vertically well-mixed side and the vertical thermal structure in the stratified side.

하계에 연안혼합역과 외해성층역 사이에서 강력한 표층수온전선이 형성되는 한국 서해 중부의 태안반도 인근해역에서 1994년 7월, 1995년 5원 및 1996년 6월 등 3회에 걸쳐 취득한 해수물성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직혼합역은 최저 15 m에서 최고 60 m 이상까지의 다양한 수심의 지형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심에 관계없이 표층과 저층의 수온차가 $1^{\circ}C$ 이내였다. 관측시기에 관계없이 혼합역 내의 수평적인 표층수온차는 작으면서도 수심에 반비례하는 특정을 보이고 표층수온이 가장 낮은 해역은 태안반도 서단에서 남서방향으로 형성되어있는 수심이 50 m 이상인 깊은 수로를 중심으로 관측되었다. 또한 6월에 관측한 표층수온전선이 태양복사열이 더 강한 7월에 관측한 표층수온전선에 비해 더 강한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관측결과는 연구해역의 표층수온전선역은 수층의 수직혼합에 의해 형성되지만, 수온전선의 강도는 수직혼합역의 수성 및 외해성층역의 수온의 수직구조 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