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IABILITY TESTING OF EATING ATTITUDE TEST FOR KOREAN ADOLESCENTS

한국판 청소년용 식이 태도 검사(EAT-26KA)의 신뢰도 조사

  • Choi, Joon-H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Nam, Jung-Hyu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Cho, Yun-Gyo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Choi, Bo-Yeu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Ahn, Dong-Hyu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최준호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남정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조연규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최보율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안동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1998.06.30

Abstract

Objectives:This study was designed for testing of Eating Attitude Test for Korean adolescents (EAT-26KA) on internal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nd evaluation of each items through factor analysis. Methods:Total 1,16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on June 1996. The questionnaire had been delivered by school teachers two weeks earlier before survey started. Among the 1,160 students, 114 students were selected by random. And then they were retested with same questionnaire on July 1996, four weeks later Result:Internal consistency of EAT-26KA was relatively good(Cronbach’s ${\alpha}$ =.8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ce on test-retest reliability(r=.63 p<.01). But two item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item No. 9, 17). and 5 items had low level correlation(p>.05, item No. 2, 6, 12, 21, 24). We performed factor analysis on whole items except No. 25 item.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EAT-26KA were different from that of EAT-26. Conclusion:The EAT-26KA is useful for the survey of the eating behavior and problems in Korean adolescents.

저자들이 번안한 한국판 청소년용 식이태도 검사(Eating Attitude Test for Korean Adolescents, EAT-26KA)의 신뢰도 조사와 요인분석을 통한 개개의 문항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의 1개 중 고등학교 학생 1,160명을 대상으로 하여 방문 조사 2주전 양호교사와 담임교사를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1996년 6월 저자들이 직접 현장 방문을 하여 신체계측과 누락된 문항을 보강하는 검사를 하고 1개월후 이중 114명을 무작위 선정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재검사를 시행하였다. 평가도구인 EAT-26KA는 영문판 EAT-26의 전 문항을 사용하였고 저자들이 대상연령의 지적 능력에 맞는 어휘를 사용하여 번역하였다. 내적 일관성 혹은 내적 합치도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Cronbach’s ${\alpha} =.83)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서구의 조사결과에 비해선 약간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고(r=.63 p<.01) 문항간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선 두 개의 문항이 부적 상관(negative correlation)을 보였고 다섯 문항에서 문항간 상관이 낮게 나타났다(p>.05). 세 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여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세 요인은 전체요인의 34.0%를 설명하였고 한 문항은 어느 요인으로도 분류되지 않았다. 각 요인으로 분류되는 문항구성도 영문판에 비해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저자들이 번안한 EAT-26KA는 일반 청소년 인구(non-refered population)을 통한 신뢰도 검사 결과 우수한 내적 신뢰도를 갖추고 있고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는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여 조사도구로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요인분석의 결과 어느 요인에도 속하지 않는 문항이 있었고 이 문항의 수정 또는 누락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며, 영문판 EAT-26과 비교해볼 때, EAT-26KA의 요인구조는 상이하게 나타나 실제검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의 해석은 서구의 경우와 차이가 있을 것이 예상되었고 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타당도의 확립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