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dor Discriminents Analysis and the Comparison of Flavor Components in Korean and Chinese Sesame Oils

한국산 및 중국산 참기름의 향기성분 비교 및 전자코 장치를 이용한 Odor 판별 분석

  • 권영주 (중국 장춘대학 식품과학계) ;
  • 이재곤 (한국인삼연초연구원) ;
  • 등개야 (중국 장춘대학 식품과학계) ;
  • 이규희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 오만진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9.06.0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earch mm reasonable and scientific method to distinguish Korean sesame with Chinese sesame. Sesam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Korean variety cultivated in Chochiwon City of Korea (KvKc), Chinese variety cultivated in Jilin Province of China (CvCc), Chinese variety cultivated in Chochiwon city of Korea (CvKc) and Korean variety cultivated in Jilin Province of China (KvCc). 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alysis, 41 component were identified from KvKc and 39 components from CvCc. Major flavor components were pyrazines and furans. Pyrazines compositions of KvKc and CvCc were 55.4% and 56.8%, respectively while furans compositions of KvKc and CvCc were 27.0% and 20.4%, respectively. Other flavor components pattern showed no difference. When the headspace volatiles of sesame oils were analyzed using Electronic Nose System and the obtained data were interpreted using statistical method of MANOVA and Discriminant analysis, characteristic patterns of sesame oil odor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variety as well as cultivated ar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sesame oils may be distinguished from Chinese sesame oils by using Electronic Nose System.

한국산 참깨와 중국산 참깨를 구별해낼 수 있는 보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실험방법을 모색하고자 한국산 및 중국산 참기름의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고, 또한 전자코 장치를 이용하여 한국산 및 중국산 참깨로 제조한 참기름의 판별이 가능한지를 MANOVA 분석, 판별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기름의 향기성분 분석 결과 한국품종 한국산은 41개 성분을 확인하였고, 중국품종 중국산은 39개 성분을 확인하였다. 주성분은 참깨의 고소한 향에 기여하는 pyrazine류로서 한국품종 한국산은 55.4%, 중국품종 중국산은 56.8%를 차지하였고, 달콤한 향에 기여하는 furan류는 한국품종 한국산은 27.0%, 중국품종 중국산은 20.4%로 나타났으며 기타 향기성분 조성면에서도 큰 차이는 없었다. 재배지를 교환시도 향기성분 조성면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전자코 장치를 이용하여 한국산 참깨 및 중국산 참깨로 제조한 참기름의 냄새 차이 판별여부를 SAS 통계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산 및 중국산 참깨 품종간, 재배지간 뚜렷한 냄새 차이를 보였으며 전자코 장치를 이용하여 한국산 및 중국산 참기름 판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