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pplication of fuzzy spatial overlay method to the site selection using GSIS

GSIS를 이용한 입지선정에 있어 퍼지공간중첩기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임승현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 환경공학부) ;
  • 조기성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 환경공학부)
  • Published : 1999.06.01

Abstract

Up to date, in many application fields of GSIS, we usually have used vector-based spatial overlay or grid-based spatial algebra for extraction and analysis of spatial data. But, because these methods are based on traditional crisp set, concept which is used these methods. shows that many kinds of spatial data are partitioned with sharp boundary. That is not agree with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data in the real world. Therefore, it has a error that a region or object is restricted within only one attribution (One-Entity-one-value). In this study, for improving previous methods that deal with spatial data based on crisp set, we are suggested to apply into spatial overlay process the concept of fuzzy set which is good for expressing the boundary vagueness or ambiguity of spatial data. two methods be given. First method is a fuzzy interval partition by fuzzy subsets in case of spatially continuous data, and second method is fuzzy boundary set applied on categorical data. with a case study to get a land suitability map for the development site selection of new town, we compared results between Boolean analysis method and fuzzy spatial overlay method. And as a result, we could find out that suitability map using fuzzy spatial overlay method provide more reasonable information about development site of new town, and is more adequate type in the aspect of presentation.

현재까지 GSIS를 이용하는 많은 응용분야에서 각종 공간자료의 추출 및 분석을 위해 벡터형 공간중첩(spatial overay)이나 격자형 공간연산(spatial algebra)기능이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런 방법에 내재하고 있는 개념은 전통적인 보통집합이론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종류의 공간자료들이 구간설정에 있어서 예리한 경계로 분할되는 것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것은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실제 자료들의 공간분포패턴과 일치하지 않는다. 즉, 공간상에 일정영역이나 실체들이 오직 한가지 속성으로 한정되는(one-entity-one-value)오류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보통집합의 개념하에서 공간자료를 다루어 왔던 종래의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서 공간자료가 지니는 모호함 내지 경계의 애매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퍼지집합의 개념을 두 가지 방법을 통해 공간중첩과정에 도입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공간적으로 연속성을 갖는 자료에 대해서 퍼지부분집합에 의한 퍼지구간분할법이며, 두 번째 방법은 범주형 자료에 대해서 적용한 퍼지경계집합법이다. 사례연구로서 신시가지 개발입지선정을 위한 적지분석을 수행을 함으로서 기존의 부울분석방법과 퍼지 공간 중첩법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퍼지공간중첩법에 의한 적합도면이 신시가지 개발입지에 대한 보다 타당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더불어 정보표현측면에서도 더욱 적절한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