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Fire on Forest Vegetation in Mt. Samma

산불이 삼마산의 삼림식생에 미치는 영향

  • Kim, Woen (Department of Bi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ung-Hye (Department of Bi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Young-Ho (Department of Bi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원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박정혜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조영호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9.06.01

Abstract

Authors report the changes of the community structure and secondary succession after fire in Mt. Samma (333 m). Approximately six ha of the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and its floor vegetation were burned and cutted down. The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burned and unburned sites from April to October, 1998. The dominant species based on SDR₃ in the burned site were Lespedeza cyrtobotrya (96.87), Quercus serrata (77.90), Cyperus amuricus (46.22) and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38.33), whereas the dominant species in the unburned site were Pinus densiflora (100.00) and Q. variabilis (66.10) at the tree layer, Q. serrata (100.00)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29.64) at the shrub layer., and Q. serrata (76.30) and M. sinensis var. purpurascens (72.84) at the herb layer. The biological spectra based on SDR₃ were Th-D₁-R/sub 5/-e for the burned and H (M)-D₁-R/sub 5/-e type for the unburned site, respectively. The index of similarity (CCs) between the burned and unburned sites was 0.41. The degree of succession (DS) were 609 for the burned and 1168 for the unburned site, respectively. The species diversity (H) and evenness indices (e) of the burned site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unburned site, but the dominance indices (C) was higher in the burned site. In the analysis of soil properties, pH, the content of NO₃/sup -/-N, available phosphrous, and exchangeable cations (K/sup +/, Ca/sup 2+/, Na/sup +/, Mg/sup 2+/) in the burned site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unburned site, whereas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total carbon, total nitrogen and NH₄/sup +/-N were lower in the burned site. The results show that dominant species in the burned site change from Miscanthus-Lespedeza→Lespedeza→Quercus and finally to Quercus forest, and the changes of soil properties also affect the early vegetational succession after fire.

1997년 3월에 대구광역시 동구 미대동 삼마산(333 m)의 일부 지소에 산불이 발생하여 약 6 ha의 소나무림과 임상식생이 전소되어 산화 당년에 벌목되었고 그 이듬해에 잣나무를 조림하였다. 산화 2년째인 1998년 4월에서 10월까지 산화지와 대조구인 비산화지를 선정하여 산화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식생조사와 토양조사를 실시하였다. 산화지에서는 총 43종류, 비산화지에는 총35종류의 식물이 출현하였으며, 적산우점도(SDR₃)는 산화지에서 참싸리(96.87), 졸참나무(77.90), 방동사니(46.22), 억새(38.33), 칡(36.84) 순이고, 비산화지에서 교목층은 소나무(100.00), 굴참나무(66.10), 개암나무(31.36)순, 관목층은 졸참나무(100.00), 산초나무(64.89), 참싸리(21.60)순, 초본층은 졸참나무(76.30), 억새(72.84), 산거울(64.89) 순으로 나타났다.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은 산화지는 Th-D₁-R/sub 5/-e형, 비산화지는 H(M)-D₁-R/sub 5/-e형으로 나타났다. 두 지소간 유사도지수는 0.41이었고, 천이도(DS)는 산화지 609, 비산화지 1168, 종다양성지수(H)는 산화지 2.499, 비산화지 2.807, 균등성지수(e)는 산화지 0.664, 비산화지 0.789, 우점도지수(C)는 산화지 0.155, 비산화지 0.099이었다. 토양성분은 산화지에서는 pH, NO₃/sup -/-N함량,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 K/sup +/, Ca/sup 2+/, Na/sup +/, Mg/sup 2+/이 비산화지보다 더 높은 값을 보였고, 유기물함량, 총탄소함량, 총질소함량, NH₄/sup +/-N함량은 비산화지보다 더 낮은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조사지에서 산화지의 식생천이양상은 산화 당년에 억새와 참싸리, 산화 2년째에 참싸리와 졸참나무가 우점해 있고 앞으로 새로운 교란요인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졸참나무군락으로 천이가 진행됨을 예상할 수 있다. 산불로 인해 식생이 파괴된 우, 그 이전의 상태로 회복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해서 장기적인 계획에 의한 더욱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효율적인 산화지 관리면에서 수행될 필요성이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