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Planktonic Copepods in the Korea Strait

대한해협 부유성 요각류의 계절별 수직분포

  • LEE Chang Rae (Dep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Pyung Gang (Dep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ul (Dep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9.07.01

Abstract

In the Korea Strait total of 96 copepod taxa (40 genera) were identified from the seasonal and vertically stratified samples. Species richness was the highest in fall and the abundance was the highest in spring. Spatial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within each season, but was meaningful among seasons. The water column layers of high abundances were near bottom in spring, and surface in summer and fall. Species association of copepods was examined by the cluster analysis. There are the two different results on the timing of the intrusion of East Sea Cold Water to the Korea Strait in the deeper layer based on physical data [in winter (Lee et al., 1938) vs in summer (Cho and Kim (1998)]. This study based on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copepods supported Cho and Kim (1998)'s result. Although sea water temperatures was one of major controlling factors of the copepod distribution in this strait, biological interrelation among the species such as common or exclusive exploitation of the habitat was also responsible for the observed distributional patterns.

사계절 수층별 채집에서 요각류는 총 40속 96개 분류군이 동정되었다. 가을철에 가장 많은 종류가 대마난류를 통해 동해로 유입되고 있었다. 정점별로는 모든 계절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NOVA, p>0.05) 각 계절의 수심별 비교에서는 여름철과 겨울철에 중 저층에서 다소 많은 분류군이 동정되었다. 요각류의 총 개체수는 종수와는 달리 봄철에 가장 많은 163.8 개체/$m^3$가 분포하였다. 가장 풍부했던 봄철에는 저층 부근에서 높은 개체수를 보였으며, 여름철과 가을철에는 저층보다는 표충에서 가장 높은 개체수를 보였다. 집괴분석을 통하여 종간 유연관계를 파악한 결과, 대한해협에 출현하는 요각류는 공동출현과 배타적 출현 의 두 그룹이 분명하였다. 각 그룹은 계절변화에 따라 수층별 분포양상이 달랐다. 동해 냉수가 대한해협 저층에 유입되는 계절에 대하여 물리적 자료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결과가 있는데 [여름(Cho and Kim, 1998)과 겨울철 (Lee et al., 1998)], 요각류 분포 자료를 바탕으로한 이 연구에서는 여름철에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해나 남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변화를 보이는 수온 구조이지만 여전히 수온이 부유성 요각류의 분포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서식처의 공동 혹은 배타적 이용과 같은 생물학적 상호관계 역시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