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rophodynamics in the Frontal Zone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한국 남해 연안전선의 생물$\cdot$화학적 특성 및 영양역학 구조

  • Published : 1999.01.01

Abstract

B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rophodynamics in the frontal zone were investigated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Temperature, nutrients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PO_4^{3-}-P$, and $SiO_2^{-}-Si$) chlorophyll a and zooplankt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long the two transects, the frontal zone and the non-frontal zone, in April, 1994. Nutrients were higher in the non-frontal zone than in the frontal zone. But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as high in the frontal zone, particularly at the 20 m depth of the main frontal station (St. TII-2), where was located at the junction between the stratified layer and the non-stratified layer with the lowest nutrients. Zooplankton was more abundant in the frontal zone than in the non-frontal zone, particularly at the innermost station of the frontal zone. Copepods showed high composition rate more than $90\%$ at all stations except the main frontal station (St. TII-2). At the main frontal station (St. TII-2), euphausiids and siphonophores were dominated. Chlorophyll a revealed a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iO_2^{-}-Si$ in both transects and copepods in the non-frontal zone. Copepods also showed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siphonophores in the frontal zone. This suggests that the abundance of copepods could be controlled as bottom-up in the non-frontal zone and as top-down in the frontal zone.

전선역의 생물$\cdot$화학적 특성 및 영양역학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한국 남해안의 전선대 해역과 비전선대 해역에서 수온, 영양염, chlorophyll a와 동물플랑크톤을 조사, 분석하였다. 영양염은 비전선대 해역이 전선대 해역에 비해 높았으나, chlorophyll a는 전선대 해역에서 높았다. 특히, 전선의 중심지에서도 성층과 비성층의 분기점이 되는 수심 20m층에서 chlorophyll a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전선의 중심지인 정점의 수심 20m층에서 영양염이 가장 낮았다. Chlorophyll a는 영양염과 모두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특히 $SiO_2^{-}-Si$와 가장 높은 음의 상관성을 보석, 전선대에서 영양염 농도가 낮은 것은 chlorophyll a생산에 사용되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동물플랑크톤 출현량은 전선대해역에서 비전선대해역 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특히 전선대 해역의 전선을 중심으로 한 연안에서 가장 높았다. 동물플랑크톤 중 copepods가 $90\%$ 내외의 높은 조성률을 보이나, 전선의 중심지에서 copepods는 약 $60\%$의 조성률을 보인반면 siphonophores와 euphausiids가 높은 조성률을 나타내었다. Copepods는 비전선대 해역에서는 chlorophyll a와 높은 상관성을 보인반면, 전선대 해역에서는 포식자인 siphonophores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copepods 출현량은 전선대 해역에서는 top-down조절을 받고 있으며, 비전선대 해역에서는 bottom-up조절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