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robenthic Community of the Subtidal Soft Bottom of Aenggang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남해 앵강만 조하대 연성저질 저서동물 군집

  • 임현식 (목포대학교 해양자원학과) ;
  • 박흥식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단) ;
  • 최진우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단) ;
  • 제종길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단)
  • Received : 1998.09.15
  • Accepted : 1999.01.19
  • Published : 1999.02.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in Aenggang Bay, the southern coast of Korea. Sampling was performed seasonally using van Veen grab from October 1994 to August 1995. A total of 233 species occurred; polychaetes accounted for 90 species, crustaceans 66 species, and mollusks 46 species. The mean density of macrobenthos was 1,358 ind./$m^2$, and polychaetes accounted for 64% of total abundance with its density of 874 ind./$m^2$. Mean macrobenthic biomass was 261.96 gWWt/$m^2$, and echinoderms accounted for 52.6% of total biomass with its biomass of 137.76 gWWt/$m^2$. Dominant species were a serpulid worm, Ditrupa arientina (245 ind./$m^2$), a cirratulid worm, Tharyx sp. (166 ind./$m^2$), and a scaphopod Fustaria nipponica (132 ind./$m^2$). Ditrupa arientina and Fustaria nipponica were distributed mainly in the mouth of Aenggang Bay, whereas Tharyx sp. showed its high densit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ay. The study area showed a regional difference in species richness, abundance, and biomass; the eastern region of the bay sustained relatively more abundant and richer macrobenthos than the western part.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5 regions by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of macrobenthos; the inner bay, two central regions, and two mouth areas of the bay.

남해안에 위치한 앵강만의 저서동물 군집 구조파악을 목적으로 1994년 10월, 1995년 1월, 5월 및 8월에 앵강만 내에 18 개 정점을 설정하고 저서동물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233 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이 가운데 다모류가 90 종, 갑각류가 66 종 및 연체동물이 46 종이었다. 평균 밀도는 1,358 개체/$m^2$였으며, 다모류가 874 개체/$m^2$로서 가장 우점하였으며 전체 밀도의 64%를 차지하였다. 습중량은 262.0 gWWt/$m^2$였으며, 극피동물이 137.8 gWWt/$m^2$로서 전체 습중량의 52.6%를 차지하였다. 출현종수, 밀도 및 습중량은 앵강만 동측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서측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주요 우점종으로서는 석회관갯지렁이인 Ditrupa arientina, 실타래갯지렁이류인 Tharyx sp. 그리고 굴족류인 Fustaria nipponica였는데 각각 밀도가 245 개체/$m^2$, 166 개체/$m^2$ 및 132 개체/$m^2$였다. D. arientina와 F. nipponica는 앵강만 입구역에서 밀도가 높았으며, Tharyx sp.는 앵강만 중앙부 해역에서 밀도가 높았다. 집괴분석 결과 앵강만은 내만에 1 개 정점군, 만 중앙부에 2 개 정점군, 그리고 만 입구에 2 개 정점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앵강만의 저서동물 분포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Keywords